[뉴욕증시 주간전망] "5월에 팔고 떠나라" …매도 수요 발생 가능성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뉴욕증시 주간전망] "5월에 팔고 떠나라" …매도 수요 발생 가능성

웹마스터

빅테크 실적·3월 PCE 가격지수 중요


이번 주(24~28일) 뉴욕증시는 '빅테크' 실적에 따라 박스권 탈피를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에는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 플랫폼스 등 실리콘밸리 기술기업들의 실적이 대거 발표한다. 


코카콜라, 맥도널드, 비자, 보잉, 3M, 셰브론 등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에 편입된 다수의 우량기업과 위기설에 놓였던 퍼스트리퍼블릭도 실적을 공개한다. 아울러 S&P500지수 상장기업 중 약 3분의 1이 넘는 기업들의 실적이 공개될 예정이다.


현재까지 기업들은 예상보다 괜찮은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시장의 예상치는 이미 하향조정된 수준이고, 깜짝 실적호조를 보고한 기업도 5년 평균에 비해서 낮았다.


팩트셋에 따르면 지난주 기준 S&P500 상장기업 중 약 18%가 회계연도 1분기 실적을 보고했다. 이 중 76%가 예상을 상회하는 주당순이익(EPS)을 냈다. 이는 5년 평균 77%보다는 낮았다.


월가 전문가들은 빅테크가 대체로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하는 실적을 낼 것으로 기대하지만, 만약 예상 외의 부진한 성적이 나온다면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 


이번 주에는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선호하는 물가지표인 3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도 나온다.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약 일주일 앞두고 발표되는 물가지표는 연준의 5월 금리인상에 쐐기를 박을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전문가들은 3월 근원 PCE 가격지수가 전년동기대비 4.5%, 전월대비 0.3% 올랐을 것으로 예상했다. 전월과 비슷하거나 상승률이 소폭 둔화한 수준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금리 선물시장 참가자들은 5월 FOMC에서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90%에 육박한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다. 금융시장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이번 5월의 금리인상이 이번 긴축기의 마지막 금리인상이고, 연준이 이르면 여름부터 금리인하에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시장에서는 이 같은 기대감이 과도하다는 지적도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씨티그룹은 이번 긴축기의 최종 금리를 5.5%~5.75%로 제시했다. 연준이 무려 세 번의 추가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의미다.


월가의 투자자문사 에버코어ISI는 시장의 기대처럼 연준이 금리를 신속하게 인하하기 위해서는 극심한 시장 혼란이나 위기가 닥쳐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주에는 1분기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도 발표된다. WSJ은 1분기 GDP가 전분기보다 연율 1.8% 증가했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4분기 성장률은 2.6%로 최종 집계된 바 있다.


한편, 이번 주는 4월의 마지막 주다. 월가에는 '5월에 팔고 떠나라(Sell in May and go away)'는 격언이 있는 만큼 투자자들의 매도 수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지난 한 주 다우지수는 0.23% 하락하며 5주 만에 하락했다. 지난주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각각 0.1%, 0.42% 내렸다. 


김문호 기자 mkim@chosundaily.com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