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간전망(8~12일)] 지역은행 위기와 물가 주목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뉴욕증시 주간전망(8~12일)] 지역은행 위기와 물가 주목

웹마스터

"은행권 신용경색 초래" 우려있어

골드만삭스 "당분간 박스권 등락"


이번 주(8~12일) 뉴욕증시 참가자들은 지역 은행권의 위기와 물가 등에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중소 지역은행 위기는 현재 진행형이다. 실리콘밸리은행(SVB), 시그니처은행 파산 후 이번 사태의 세 번째 타겟이 된 캘리포니아의 퍼스트리퍼블릭은행은 JP모건체이스에 인수됐다.


곧이어, 또 다른 지역은행 팩웨스트은행이 다음으로 지목됐다. 팩웨스트은행이 매각을 포함한 전략적 옵션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오면서 팩웨스트은행의 주가는 지난주 40% 이상 폭락했다.


지난주 막판 뉴욕증시가 급등하면서 지역은행 주가가 급등했지만, 아직 관련 리스크가 해소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이번 사태로 지역은행 종목에 대한 공매도 포지션이 늘어나면서 변동성이 극도로 증폭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연준)를 비롯한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는 은행권의 신용경색으로 귀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은행권 파산 사태로 은행들이 대출요건을 강화하고 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는 등 미국 가계와 기업에 사실상 긴축의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주에는 물가지표도 발표된다. 연준은 5월 FOMC에서 금리를 인상하면서 미국의 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은행권의 위기 속에서도 인플레이션 대응을 우선시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소폭 완화하는 데 그쳤을 것으로 관측했다. 전문가들은 4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대비 0.4%, 전년동기대비 5.5% 올랐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3월 수치였던 전월대비 0.4% 상승, 전년동기대비 5.6% 상승에 비해서 비슷하거나 약간 둔화한 수준이다. 


물가상승률은 연준의 목표치인 2%를 두 배 이상 상회한다. 반면, 노동시장은 아직 견조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노동부는 지난 4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전월보다 25만3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월가의 예상치를 훌쩍 웃도는 수준이다. 4월 실업률 또한 3.4%로 약 반세기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편, 상장기업들의 실적발표도 마무리 국면에 들어섰다. 이번 주에는 S&P500 상장기업 중 단 30개 기업만이 실적을 공개한다. 주요 기업 중에서는 디즈니의 실적 발표가 예정됐다. 월가 최대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당분간 박스권에 갇힐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김문호 기자 mkim@chosundaily.com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