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기 전에…”아이폰 사재기 시작됐다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오르기 전에…”아이폰 사재기 시작됐다

웹마스터


관세가 부과되기 전에 아이폰을 사려는 소비자들이 몰려들며 애플 매장은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글렌데일 갤러리아의 애플 매장. / 이해광 기자 


 

"관세 전에 구입" 매장들 장사진

전문가 "최대 350달러 인상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놀란 소비자들이 아이폰 사재기에 나서고 있다. 관세 부과 전에 아이폰을 구매하려는 소비자들로 인해 전국의 애플 매장은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 


8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애플 직원은 매장이 아이폰을 '패닉 바잉'(불안감에 의한 사재기)하려는 사람들로 붐볐다면서 "거의 모든 고객이 가격이 곧 오를지를 물어 봤다"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전국의 애플 매장 직원들을 인용해 주말에 고객들로 매장이 가득 찼다고 전했다.


애플은 아이폰 생산을 다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대부분을 중국에서 만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공개하면서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34%로 발표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총 20%의 추가 관세를 중국에 부과한 바 있다.


소비자들이 애플 매장에 몰려드는 것은 아이폰 가격이 크게 오를 수 있다는 분석 때문이다. UBS 애널리스트는 7일 보고서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애플이 미국에서 "아이폰16 프로 맥스의 가격을 최대 350달러 인상할 수 있다"고 봤다.


애플은 재고를 비축하는 등 관세 폭풍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상대적으로 관세가 낮은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을 미 시장에 더 많이 공급할 예정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인도산 수입품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율은 26%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