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목표 성취 위해 열심히 뛰는 학생 원한다"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꿈과 목표 성취 위해 열심히 뛰는 학생 원한다"

웹마스터

대부분 명문대들은 고등학교 교사 2명의 추천서를 요구한다. 한 하이스쿨 수업 장면. /AP


교사가 추천서 작성 위해 찾는 것들

입학심사에서 다른 여러 요소들과 함께 고려

누구보다 나를 잘 아는 선생에게 부탁해야


교사들은 학생을 대학에 추천하기 위해 어떤 정보를 찾을까? 추천서(letter of recommendation)는 해당 학생이 대학에서 성공적으로 생활할 수 있기 위해 필요한 특징들을 담아서 학생의 주변인이 대학에 추천하는 것이다. 그 특징을 고등학교 환경에서 학생이 보여주었다면 교사는 기꺼이 이 점을 언급할 것이다. 교사는 학생의 전반적인 성격과 캐릭터, 학생으로서의 자질, 그리고 미래의 목표 등을 살펴본다. 이 말은 학생이 고등학교 시기에 이런 모습을 증명해야 한다는 뜻이다.  


◇추천서의 중요성

잘 알다시피 명문대 입시는 ‘종합 평가(holistic review)’ 방식이다. 학교 성적, 시험점수, 에세이, 추천서, 과외활동 등 여러 요소를 검토해서 합격시킬지 말지를 결정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어느 한 가지도 중요성을 과소평가 하면 안 된다. 


추천서의 경우 나의 학업적 능력 뿐만 아니라 나의 인간적인 면도 잘 아는 사람이 작성해야 위력이 배가된다. 대부분 명문대들은 교사 2명, 카운슬러 1명의 추천서를 요구하는데 학생들은 늦어도 12학년 가을학기 시작과 함께 추천서를 부탁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에서 성취한 것에 대한 내용이 들어간 브래그시트(brag sheet)를 만들어 추천인에게 건네면 도움이 된다.


◇회복력과 끈기

끈기와 회복력은 성공적인 대학생이 되기 위해 매우 중요한 두 가지 특질이다. 

회복력이란, 인생에서 난관이 닥쳤을 때 한 인간으로서 잠시 좌절할 수는 있으나, 포기하지 않고 다시 일어서는 능력을 말한다. 


모든 고등학교에서 교사들은 어느 학생이 더 잘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도 충분히 노력하지 않는지 알아본다. 교사생활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이 점이 눈에 보인다. 만약 내가 어떤 과목에서는 최선을 다하지만 다른 과목에서는 열심히 하지 않는다면, 강력한 교사 추천서를 받기는 어려울 것이다. 


특정 수업의 내용을 내가 이해하지 못한다면 노력하려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 포기하는 대신 끈기를 가지고 공부를 지속하는 것은 학생이 앞으로 펼쳐질 인생에서 여러 상황에 어떻게 대처할지 가늠하는 지표가 된다. 


회복력은 추천인의 입장에서 강력한 주제이다. 많은 학생들은 고등학교 시기에 학업이나 가정사, 건강, 인간관계 등에서 어려운 일을 겪기도 한다. 교사들은 이런 경험에 주목하면서 인생에 시련이 있어도 이 학생이 얼마나 긍정적으로 난관을 이겨냈는지 추천서에서 언급할 수 있다.


◇진정성 

학생이 교사 및 친구들과 진실된 인간관계를 맺는다면 진정성 있는 캐릭터가 돋보일 것이다. 어떤 방식으로든 남에 대해 험담을 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다. 만약 학생이 수시로 교사에 대해 험담을 하고 친구들과 진실된 교우 관계를 맺지 않는다면, 긍정적인 추천서를 받을 가능성은 낮다. 


학업과 과외활동, 커뮤니티 봉사 등도 마찬가지다. 학교 생활을 열심히 하면서 자신의 열정을 쏟으면서 임한다면 학생의 좋은 캐릭터가 드러나기 마련이다. 이런 타입의 학생은 추천인에게나 대학 입장에서 언제나 환영을 받을 것이다. 


◇리소스를 활용하는 능력 

지적인 호기심을 가지고 배움에 대해 질문하는 학생에게는 이득이 많다. 

주위 환경에서 구할 수 있는 리소스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 또한 학생에게 도움이 된다. 고등학교 시절 주위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찾고 이용하는 학생이 대학에 가서도 성공한다. 


예를 들어 어떤 학생이 학교 숙제에 대해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가장 먼저 수업 시간에 노트에 필기한 것을 복습하고 구글링을 하거나 친구에게 묻는 등 스스로 해결하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숙제를 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부족하다고 느낀다면, 교사에게 도움을 요청할 것이다. 수동적인 태도는 추천인에게 좋은 점수를 얻지 못한다. 


◇일관성 

꾸준하고 성실한 학생은 매 순간 모든 수업에서 열심히 공부한다. 

특정 수업이나 과제만이 아니라 모든 것에 최선을 다하기 때문에 스스로 도전의 기회를 만들고, 훗날 전공을 선택할 때도 전공가능 분야의 폭을 넓힐 수 있다. 학업적 편식이 심한 학생은 기본적 소양을 갖추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목표와 꿈에 집중하기 

고등학교 때 10대 학생들은 질풍노도의 시기를 겪는다. 

사춘기가 오고 또래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여러 드라마가 일어나기도 한다. 그러나 목표와 열망이 분명한 학생들은 드라마에 휩쓸리기보다는 더 중요한 것에 집중할 줄 안다. 


많은 학생들이 친구, 이성 관계, 학교 생활의 여러 다른 부분에 대해 교사들과 이야기하는 것을 즐긴다. 이 뿐만 아니라 인생의 목표와 꿈에 대해서도 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가 학생의 열정이 향하는 곳을 정확히 안다면, 추천서에서 학생이 가장 목표로 하는게 무엇인지 직설적으로 말할 수 있다. 대학에 가서도 미래의 성공을 위해 이 학생이 어떻게 생활할지, 그래서 대학은 어떻게 학생을 지원할 수 있을지 교사가 구체적으로 언급할 수 있다. 


김수현 교육 객원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