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상황, 좋은 걸까? 나쁜 걸까?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경제상황, 좋은 걸까? 나쁜 걸까?

웹마스터

정부가 발표하는 경기지표가 들쭉날쭉이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경제상황을 판단하는 게 제각각이다. 뉴욕의 한 수퍼마켓에서 소비자가 장을 보고 있다. AP


[경제지표가 보내는 엇갈린 신호, 왜?]

WSJ "고·저소득층 소비격차 때문"

저소득층, 식료품 지출 줄이는데

고소득층, 소비로 경제지표 포장

 

경제지표가 나올 때마다 엇갈리는 신호를 보내면서 경제 상황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게 현실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사이의 소비격차가 이런 현상을 만들어냈다고 지난 9일 분석했다. 


노동부가 지난 7일 발표한 5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27만2000명 증가했다. 4월의 16만5000명보다 크게 늘었다. 시장 예상치 19만명보다도 훨씬 많다. 4월 소비지출이 감소하고 5월 구매관리자지수도 예상보다 낮았던 것과 비교하면 당혹스러운 수치다.


지난 4일 나온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서 4월 구인 건수가 805만9000건으로 3년2개월 만에 가장 낮았던 것과도 크게 다른 양상이다.


실업률 지표도 해석하기가 어렵다. 전체 실업률은 4.0%로 역대급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20~24세 젊은 층 실업률은 7.9%로 전년 동기의 6.3%보다 상승했다.


정부 통계만 헷갈리게 나오는 건 아니다. 식료품업체 캠벨 수프는 소비자들이 식료품 소비를 더 줄이고 있다면서 매출 전망치를 낮췄다. 이에 비해 크루즈업체들은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런 양상은 소득의 상당 부분을 식비에 쓰는 저소득층의 경우 자신의 일자리 전망에 불안감을 느끼는 반면, 부유층의 소비는 여전히 활발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크루즈 승객의 가구소득은 일반적으로 평균 이상이다.


고소득층에게는 최근의 경제 상황도 나쁘지 않다. 부유층 대부분은 집을 소유하고 있는데 이들은 팬데믹 기간에 매우 낮은 금리로 모기지(주택담보대출)를 받았거나 이후 저금리 상품으로 갈아타 금리 부담을 많이 느끼지 않는다.


주식투자자들도 많은데 인공지능(AI) 열풍 등으로 주가도 많이 오른 편이어서 수익률도 좋다. 그들은 신용 카드 할부나 자동차 할부도 많이 하지 않는다.


WSJ은 고소득층이 휴가에 돈을 많이 쓰거나 엔비디아에 대한 투자로 높은 수익을 내는 상황은 (경제지표를 좋게 만들어)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를 내리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