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드론기업 DJI '제2의 화웨이' 되나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중국 드론기업 DJI '제2의 화웨이' 되나

웹마스터

연방재무부 투자블랙리스트에 포함시켜

"드론 수집정보 중국정보국에 갈까 우려"


세계 최대 드론기업인 중국의 DJI(大疆·다장)가 미국정부의 견제로 '제2의 화웨이'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블룸버그통신은 19일 연방재무부가 DJI를 투자블랙리스트에 포함했지만, 이는 시작에 불과할 수 있다면서 연방정부 안에서 DJI의 드론이 수집한 정보가 중국 정보당국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DJI 제재 수위가 점차 높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나아가 미중 간 전략적 경쟁의 중심에는 향후 국제경제의 모습을 바꿀 가능성이 있는 '데이터 전쟁'이 자리하고 있다면서 DJI가 미국에서 시장지배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연방정부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방통신위원회(FCC)의 10월 발표에 따르면 DJI의 미국 드론시장 점유율은 50%가 넘는다. 시장조사업체인 '드론애널리스트'는 350∼2000달러 사이 가격대 무인항공기 판매량의 95% 정도를 DJI가 장악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대해 비판론자들은 DJI 드론 사용자들이 수집한 각종 민감한 정보가 자신들도 모르는 사이에 중국 정보당국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을 것이란 의심을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다.


연방정부는 재무부의 이번 블랙리스트 추가 조치에 앞서 이미 두 차례나 DJI에 대해 제재를 부과했다. 2019년 도널드 트럼프 당시 행정부는 중국산 드론과 부품의 군용 구매를 금지했으며, 2020년에는 상무부가 미국 회사의 부품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재 리스트에 DJI를 포함했다.


블룸버그는 자동차에서부터 요가 매트까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제품들이 수집해 내보내고 있는 개인정보를 적국이 입수해 분석하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DJI가 미국 정부의 표적이 되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