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유가 상승 속 혼조 마감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금리·유가 상승 속 혼조 마감

웹마스터

27일 뉴욕증시는 반발 매수세가 두드러지며 혼조세를 보였다. /AP


나스닥지수 0.22%↑

국채금리 최고치 경신


뉴욕증시는 국채 금리와 유가 상승 속에서도 반발 매수세 등에 혼조세로 마감했다.

27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지수는 68.61포인트(0.20%) 하락한 3만3550.27로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0.98포인트(0.02%) 오른 4274.51로, 나스닥지수는 29.24포인트(0.22%) 상승한 1만3092.85로 장을 마감했다. 

전날 3대 지수는 금리 상승에 따른 공포에 큰 폭으로 하락했다. S&P500지수는 6월 이후 처음으로 4300 아래에서 마감했고, 다우지수는 5월 이후 처음으로 20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마감했다.

이날은 낙폭 과대에 따른 반말 매수세와 장 초반 국채금리의 하락세 등에 오름세로 출발했으나 금리가 다시 반등하고, 유가가 13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지수는 혼조세로 돌아섰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전날보다 7bp가량 오른 4.61%를 넘어서며 2007년 이후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2년물 국채금리는 6bp가량 오른 5.13%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서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예상보다 오래 기준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강화된 점이 금리를 끌어올리고 있다.

연준내 매파(긴축 선호) 위원으로 통하는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현 금리 수준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충분히 제약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같은 날 CNN과의 인터뷰에서는 "정부의 셧다운이나 자동차 파업이 경제를 둔화시킬 수 있어 이러한 하방 시나리오가 경제에 영향을 준다면 인플레이션을 2%로 되돌리기 위해 (연준이) 통화정책을 덜 해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문호 기자 mkim@chosundaily.com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