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前직원 폭탄진술에 궁지몰린 트럼프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백악관 前직원 폭탄진술에 궁지몰린 트럼프

웹마스터

미국인 처벌여론 절반 육박

트럼프 "가짜뉴스" 강력 반발


작년 1·6 연방 의사당 폭동 사태의 선동 책임론에 휩싸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전직 백악관 직원의 메가톤급 폭로로 궁지에 내몰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1·6사태 책임론에 기름을 끼얹는 의회 증언이 나오면서 재임 중 두 번이나 의회의 탄핵 심판대에 올랐다가 탄핵을 모면했던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제는 법정에 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폭탄선언의 당사자는 마크 메도스 전 백악관 비서실장의 핵심참모를 지낸 25세 여성 캐서디 허치슨이다. 허치슨은 지난 28일 하원 1·6폭동 진상조사 특위의 청문회에 출석해 폭동 당일 트럼프 전 대통령의 연설을 들은 지지자들이 의회 의사당으로 몰려가자 자신도 의사당 행을 고집했다고 진술했다.


그는 트럼프 전 대통령은 경호원이 이를 말리자 격노하면서 운전을 하던 경호원에게 달려들 듯 운전대를 뺏으려 했다는 말을 전해들었다고 말했다. 연설에 참여하려는 지지자들이 총 등으로 무장했다는 우려에 따라 비밀경호국(SS)이 보안을 위해 금속탐지기를 사용한 데 대해서도 트럼프 전 대통령이 분노했다는 증언을 허치슨은 내놨다.


허치슨은 팻 시펄론 당시 백악관 법률고문이 조 바이든 대통령의 당선 인증절차를 막기위해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의회로 간다면 "우리는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범죄혐의로 기소될 것"이라고 경고했다고도 증언했다. 


시펄론 전 고문은 허치슨의 증언 이후 의회에 증인으로 출석하라는 소환장을 받았다.

2020년 11월 대선 패배에 불복한 뒤 이를 뒤집기 위해 각종 사법적 절차를 진행했던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간 자신도 당시 의회에 가고 싶었다면서도 폭동을 선동한 책임에 대해선 부인하고 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