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기 피습 이달근씨 참극 “막을 수 있었다”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흉기 피습 이달근씨 참극 “막을 수 있었다”

웹마스터


흑인 용의자 닷새전 유사 범죄 체포

검찰서 경범죄 석방→하루만에 범행

아시아계만 표적, 증오범죄에 유사성

변호사 딸이 밝혀낸 뒤 사건 재조명



지난 5월 자신이 운영하는 업소 부근에서 괴한의 습격으로 숨진 한인 코인론드리 업주 사건이 피해자의 딸을 통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사전에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참극이었지만, 허술한 사법 시스템에 의해 저질러진 비극이었다는 주장이다. <본지 5월 9일 A1면 보도>


LA타임스는 사망한 피해자 이달근(당시 70세)씨의 딸 케이시 리(40)씨와 인터뷰를 통해 용의자가 범행 일주일 전에도 비슷한 혐의로 경찰에 체포됐으나, 중범죄 혐의가 검찰로부터 기각돼 구치소에서 풀려난 다음날 이씨를 공격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사실은 USC 출신 변호사인 딸 케이시 리씨가 사건 자료를 검토하던 중 발견했다.


시간대 별로 정리하면 사건의 전말은 이렇다.


올해 4월 30일 늦은 밤. 중국 상하이 출신의 유학생(20·가명 제이미)이 USC 캠퍼스 안에서 후드 티를 입은 수상한 남자를 발견했다. 잠시 후 괴한은 제이미의 등 뒤로 달려들어 목에 날카로운 흉기를 들이댔다. 제이미가 순간적으로 오른손으로 방어하며 몸을 돌려 빠져나가지 않았으면 큰 화로 이어질 뻔한 순간이었다.


손을 조금 다친 제이미는 그 남자가 자신을 죽일 의도가 있다고 믿었다. 즉시 다른 학생과 함께 캠퍼스 경찰에 신고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용의자인 키온테 우즈(25)는 체포돼 구금됐다.


캠퍼스 경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LAPD는 우즈를 치명적인 무기에 의한 중범죄 혐의로 송치했지만, LA검찰이 이를 기각시켰다. 당시 검찰은 ▲ 용의자가 전과가 없으며 ▲ 피해자가 크게 다치지 않았고  유일한 흉기가 머리핀으로 이를 통해 치명적인 무기로 사용할 의도가 입증되지 않는다는 이유를 들었다. 결국 중범 대신 경범 혐의가 적용된 용의자는 5월 4일 석방됐다.


풀려난 우즈는 다음 날인 5일 사우스센트럴 LA의 한 스트립 몰(5333 S. Main St.) 주차장에서 자신의 차량 안에 앉아 있던 이달근씨의 목에 칼을 휘두른 뒤 도주했다. 이씨는 병원으로 이송돼 수술을 받던 중 숨졌다. 이후 경찰은 CCTV 화면을 확보해 공개 수배를 벌인 끝에 사건 일주일만인 5월 12일 용의자 우즈를 자택에서 검거했다.


딸 케이시 리 변호사는 LA타임스에 “아버지는 30년간 하루도 쉬지 못하고 일만 했다. 그런 분이 너무도 잔인하고 허망하게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며 “아버지를 위해 마지막으로 사건에 대한 모든 자료를 모아서 검토하던 중 뜻밖의 사실을 알게 됐다”며 용의자 우즈를 풀어준 사법 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LA타임스에 따르면 LAPD는 2개의 사건에서 유사점을 발견했다.  금품이 목적이 아니며  상대의 목을 노린 점  그리고 피해자가 아시아계라는 점이다. 첫번째 사건 피해자 제이미는 “그는 내게 아무 것도 묻지 않았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강도가 아닌 증오로 인한 행위가 틀림없다”고 말했다.


결국 검찰도 두 케이스의 연관성을 인정했다. 검찰은 “초기 폭행의 심각성이 점점 높아지는 범행의 패턴을 확인했다”며 제이미 사건을 중범죄로 재수사하면서 두 건을 하나로 병합할 것이라고 LA타임스에 밝혔다.


케이시 리씨는 “결국 우즈를 경범죄로 기소한 것이 그를 점점 대담하게 만들었고, 또 다른 아시아계 희생자를 찾게 된 것”이라며 2020년 조지 프로이드 사건 이후 사법 개혁을 외치며, 타운의 치안 불안을 야기한 조지 개스콘 LA카운티 검사장의 리콜 운동에 동참할 것이라고 LA타임스에 말했다.


백종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