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S, 크레디스위스 32억달러에 인수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UBS, 크레디스위스 32억달러에 인수

웹마스터

스위스 정부 1000억달러 유동성 지원

"금융시장 신뢰에 최고의 해법" 


세계 금융시장에 큰 충격파를 일으킬 것으로 우려됐던 세계적 투자은행 크레디스위스(CS)의 위기가 스위스 최대 금융기관 UBS의 인수로 급한 불을 끄게 됐다. 로이터,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스위스 정부와 스위스 국립은행은 19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열고 "스위스 연방정부와 금융감독청(FINMA), 스위스 국립은행(SNB)의 지원 덕분에 UBS가 CS 인수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SNB는 이번 인수 지원을 위해 최대 1천억 스위스프랑(미화 약 1080억달러)의 유동성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 SNB는 "실질적인 유동성 제공을 통해 두 은행 모두 필요한 유동성에 접근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위스 정부는 "인수가 완료될 때까지 추가적 유동성 지원을 통해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강화할 것"이라며 "의회 역시 이 같은 조처가 CS와 스위스 금융시장에 대한 신뢰를 강화하는 가장 적절한 해법일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그나지오 카시스 스위스 대통령도 "UBS의 CS 인수가 스위스 금융시장에 신뢰를 제공하는 최고의 해법"이라고 평가했다.


카린 켈러 서터 재무장관은 "CS가 독자적으로 상황을 개선하지 못한 것은 유감"이라면서도 "(이번 인수는) 다른 어떤 시나리오보다 국가와 납세자, 세계 금융 안정성에 있어서 위험이 작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조처는 구제금융이 아니라 상업적 해법"이라며 "세계적으로 중요한 은행의 파산은 세계 금융시장에 있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수 총액은 30억 스위스프랑(미화 약 32억3000만달러), CS의 모든 주주는 22.48주당 UBS 1주를 받게 된다. 지난 17일 종가 기준 CS의 주당 가격은 1.86 스위스 프랑이었다. 이를 달러로 전환한 시가 총액은 약 80억달러다.


스위스 취리히에 본사를 둔 CS는 167년 역사를 지닌 세계 9대 투자은행(IB) 중 하나로, 최근 잇따른 투자 실패 속에 재무구조가 악화한 데다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여파로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위기설에 휩싸였다. 


CS가 무너질 경우 실리콘밸리 기술기업들을 중심으로 한 틈새시장에서 영업해온 SVB 등 중소은행의 파산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세계경제에 미칠 충격파가 클 것으로 우려됐다. 이에 따라 미국 금융당국도 이번 인수 협상 타결을 위해 스위스 당국과 협력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