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비싼 가격, FBSO 고집은 금물"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너무 비싼 가격, FBSO 고집은 금물"

웹마스터

처음 집 판매하는 홈오너들이 저지르는 실수들


주택가격 상승세가 다소 주춤해지기는 했지만 셀러의 마켓이 계속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다.

난생 처음 홈쇼핑에 나서는 바이어도 많지만, 처음 집을 파는 홈오너도 적지 않다. 바이어도 그렇지만 셀러 또한 주택을 판매하기 위해 철저한 준비를 하지 않으면 이런 저런 장애물에 부딪히기 쉽다. 처음 집을 파는 셀러가 흔히 저지르는 실수들을 살펴본다.


◇너무 비싼 가격 책정하기

아무리 마켓이 뜨거워도 ‘너무 높은 리스팅가격’을 책정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목표치보다 약간 낮은 가격에 집을 내놓고 시장의 마법을 기대하는 편이 낫다. 한 주택시장 전문가는 “집을 팔아본 경험이 없는 셀러들은 리스팅가격이 곧 바이어가 원하는 구매가라고 착각할 때가 많다”며 “리스팅 가격은 바이어의 관심을 끌기위한 프라이스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오픈하우스 건너뛰기

어떤 홈오너들은 집을 매물로 내놓고도 오픈하우스 개최를 꺼린다. 잠재적인 바이어들이 집에 찾아와서 집안을 헤집고 다니는 것을 탐탁치 않게 여긴다. 그러나 집을 빨리 팔기 원한다면 최대한 많은 바이어들에게 집 내부를 개방해야 한다고 에이전트들은 조언한다. 


◇달러사인만 쳐다보기

비싼 가격에 집을 팔아 짭짤한 이익을 챙기는 것은 모든 셀러들이 바라는 바이다. 그러나 돈이 전부는 아니다. 가장 큰 액수의 오퍼에 감정 컨틴전시가 첨부돼 있을수도 있고,  규모가 조금 적어도 올 캐시 오퍼일 수 있다. 


◇FSBO 고집하기

홈오너가 직접 집을 판매하는 FSBO(For Sale By Owner)는 리스크가 따른다. 바이어 및 셀러의 에이전트에게 가는 커미션을 아끼려는 목적일 때가 많은데 FSBO를 고집할 경우 효과적인 마케팅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뜨거운 셀러스 마켓이 계속될 것이라고 착각하기

영원한 바이어스 마켓도, 셀러스 마켓도 없다. 어떤 셀러는 지금처럼 셀러가 유리한 시장이 계속될 것이라고 생각하며 적절한 오퍼를 거절해 버린다. 모기지금리가 앞으로도 계속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대세여서 바이어 풀이 쪼그라들 가능성이 높다. 


구성훈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