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간전망(26~30일)] 파월 발언·물가·러시아 반란 주목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뉴욕증시 주간전망(26~30일)] 파월 발언·물가·러시아 반란 주목

웹마스터

"상승세 지수에 조정압력 직면할 듯"


이번 주(26~30일)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의 유럽 발언과 연준이 주목하는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에 따라 조정압력이 강화될지 주목된다. 또한, 주말 동안 러시아 반란사태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위험자산에 변동성이 커질지도 주목된다.


지난 주 3대 지수는 긴 상승세를 마감하고 하락세로 돌아섰다. S&P500지수는 1.39%가량 하락해 5주 연속 상승세를 마감했다. 나스닥지수도 한 주간 1.44% 하락해 8주 연속 오름세를 마감했으며, 다우지수는 같은 기간 1.67% 밀려 3주 연속 오름세를 끝마쳤다.


그동안 많은 전문가는 연준의 긴축기조에도 상승세를 지속해온 지수가 조정압력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해왔다. 실제 지난주 투자자들은 파월 연준 의장의 연내 두 차례 금리 상 전망을 차익실현의 빌미로 삼았다. 연준이 하반기까지 긴축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에 시장의 금리 전망이 수정되기 시작했다.


이번 주에도 파월 연준 의장이 28일과 29일 유럽포럼에 참석해 발언에 나선다. 28일에는 포르투갈에서 열리는 유럽중앙은행(ECB) 포럼에서 정책 관련 패널 토론에, 29일에는 스페인 중앙은행 주최 콘퍼런스에서 스페인 중앙은행 총재와 대담에 나설 예정이다.


파월 의장이 이번 주에 미국의 통화정책과 관련해 구체적인 발언을 내놓을지는 미지수지만, 설사 발언을 하더라도 기조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 30일에는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지표인 5월 PCE 가격지수가 나온다. 이달 중순 나온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0% 올라 전달의 4.9%에서 크게 하락한 데다 2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 바 있다. 그러나 5월 근원 CPI 상승률은 5.3%를 기록하며 전달의 5.5%에서 빠르게 둔화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5월 근원 PCE 가격지수도 비슷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5월 근원 PCE 가격지수가 전월보다 0.3% 올라 전달의 0.4%에서 소폭 둔화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년 대비로도 4.6% 올라 전달의 4.7% 상승에서 0.1%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주에는 내구재 수주와 소비자신뢰지수, 신규주택 판매 등 주택지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확정치 등이 나올 예정이다. 그동안 예상보다 견조한 지표에 경기침체 우려가 크게 줄어들며 주가가 반등을 해왔다는 점에서 지표가 둔화할 경우 경기침체 우려가 부상하며 주가가 조정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이번 주 지정학적 이슈도 새롭게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의 용병 바그너그룹이 반란을 일으키며 모스크바 진격 가능성을 경고하면서 위험자산이 다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를 주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