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7일] 7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앞두고 상승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뉴욕증시 7일] 7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앞두고 상승

웹마스터

다우존스지수 1.2% 증가 


7일 뉴욕증시는 이번 주 예정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407.51포인트(1.16%) 오른 3만5473.13으로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40.41포인트(0.90%) 상승한 4518.44로, 나스닥지수는 85.16포인트(0.61%) 오른 1만3994.40으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저가 매수에 힘입어 4거래일 만에 상승했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5거래일 만에 반등했다. 투자자들은 오는 10일에 나올 7월 물가지표와 국채금리 움직임 등을 주시하면서 조심스러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7월 CPI는 오는 9월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나와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를 강화할지 주목된다.


지난 6월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 올랐으며, 근원 CPI는 4.8% 상승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7월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오르고, 근원 CPI는 4.8% 올랐을 것으로 예상된다.


7월 CPI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하지 않고 있다는 인상을 줄 경우 국채금리는 다시 오르고, 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는 한발 물러갈 가능성이 있다.


고용 추세를 보여주는 지표는 개선돼 긴축 우려를 높였다.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7월 고용추세지수(ETI)는 115.45로 전달의 113.56보다 상승했다. ETI 지수는 고용시장을 보는 선행지수로 지수가 상승하면 고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이고, 지수가 하락하면 고용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이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최근 4.2%까지 올라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10년물 금리는 이날 전장보다 5bp가량 오른 4.09% 근방에서 거래를 마쳤고, 2년물 국채금리는 전날과 비슷한 4.79% 근방에서 마감했다.


이번 주에는 34개 기업이 실적을 발표하며 오는 9일에는 다우지수에 편입된 월트디즈니의 실적도 나올 예정이다.


개별 종목 중에 워런 버핏의 버크셔해서웨이의 A주는 2분기 실적 개선에 3% 이상 올랐다. 타이슨 푸즈의 주가는 실적 실망에 3% 이상 하락했다.


테슬라의 주가는 회사의 재커리 커크혼 CFO가 사임했다는 소식이 나온 가운데 1%가량 하락했다. 캠벨 수프의 주가는 라오스 등 파스타 소스업체 소보스 브랜즈를 인수했다는 소식에 2%가량 하락했다. 소보스 브랜즈의 주가는 25% 이상 올랐다. 트럭업체 옐로의 주가는 파산보호를 신청했다는 소식에 30% 이상 폭락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최근 조정에도 주가가 반등한 데는 실적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실적 시즌이 끝나가면서 변동성이 커질 것에 대비하라는 주문도 나왔다.


김문호 기자 mkim@chosundaily.com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