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간전망(7월 31일~8월 4일)] 경제 연착륙 훈풍 이어질까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뉴욕증시 주간전망(7월 31일~8월 4일)] 경제 연착륙 훈풍 이어질까

웹마스터

고용지표·기업실적 주목


이번 주(7월 31일~8월 4일) 뉴욕증시는 고용지표와 기업실적에 주목하며 상승을 시도할 것이란 전망이다.


지난주 뉴욕증시는 강세를 보였다. 다우존스지수는 0.6% 상승했다. 다우지수는 지난주 13거래일 연속 상승하면서 1987년 이후 최장 상승 기록을 썼다. S&P500지수는 지난 한 주 동안 약 1% 상승했다. S&P500지수는 지난주 한때 장중 4600선도 돌파했다. 나스닥지수는 지난 한 주 동안 2% 이상 올랐다.


뉴욕증시에는 경제 연착륙과 '골디락스(goldilocks;경제성장 속 물가안정)'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주 발표된 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4%를 기록하며 예상치를 상회했고,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도 다섯 달 만의 최소치를 찍으면서 경제 연착륙에 대한 기대치를 높였다. 


지난주 연방준비제도(연준)는 시장의 예상대로 금리를 25bp(1bp=0.01%포인트) 인상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는 경제지표에 따라 금리를 인상하는 것과 동결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골드만삭스, 도이치방크 등 월가의 주요 투자은행은 연준이 지난주 이번 긴축기의 최종 금리인상을 단행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반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씨티그룹, 바클레이즈 등 금리인상이 한 번 더 있을 수 있다고 예상하는 투자은행도 있다. 


파월 의장은 7월 회의를 마치고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연준 직원들은 최근의 경제 회복력을 감안해 더 이상 경기침체를 예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인플레이션 쪽에서도 긍정적인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지표로 알려진 6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1% 오르며 2021년 9월 이후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반면 미국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는 증가세를 이어갔다. 6월 개인 소비지출은 전달에 비해 0.5% 증가하면서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했다.


이번 주에는 6월 비농업 고용보고서, 민간 고용보고서, 구인·이직 보고서, 감원 보고서 등 노동시장의 여건을 알아볼 수 있는 핵심 경제지표가 발표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6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20만 명 늘어나고, 실업률이 3.6%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직전 수치에 비해 소폭 둔화한 수준이지만, 크게 변화가 없는 수준이다.


물가상승률이 둔화하는 와중에 고용시장이 이전과 비슷한 수준의 강세를 이어간다면 이는 골디락스 경제 전망을 뒷받침하는 요인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번 주에는 뉴욕증시 대장주 애플과 아마존을 비롯한 기업들의 실적발표가 이어진다. 기업들의 실적은 생각보다 순항하는 분위기다. 팩트셋에 따르면 현재까지 실적을 발표한 S&P500 상장기업 255개 중 81%가 시장의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보고했다.


김문호 기자 mkim@chosundaily.com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