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간전망(7~11일)] 7월 소비자물가 주목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뉴욕증시 주간전망(7~11일)] 7월 소비자물가 주목

웹마스터

조정의 시작, 혹은 랠리 강화


이번 주(7~11일) 뉴욕증시는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라 조정이 본격화 할지, 아니면 랠리가 강화될 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8월 첫 주인 지난주 3대 지수는 모두 하락세로 장을 마쳤다. S&P500지수는 2.27% 하락했고,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1.11%, 2.85% 밀렸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의 하락률은 3월 이후 최대다. 


지난 7월까지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가 5개월 연속 상승세를, 다우지수는 2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여왔다는 점에서 전주의 하락세가 새로운 전환점의 신호가 될지 주목된다.


그동안 랠리를 떠받쳐온 것은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인상 종결 가능성과 물가둔화 및 경기회복에 따른 연착륙 가능성이다. 최근 발표되는 2분기 기업실적도 연착륙 가능성에 힘을 보태고 있다.


지난주 노동부가 발표한 7월 비농업 고용은 18만7000명 증가해 시장이 예상한 20만명 증가를 밑돌았다. 7월 수치는 지난 1년간의 월평균 수치인 31만2000명을 크게 밑돈 것이다. 


그러나 실업률은 3.5%로 전달의 3.6%에서 하락하고, 임금상승률도 4.36% 수준으로 전월의 4.35%와 시장예상치 4.2%를 웃돌았다.


연준은 인플레이션과 함께 고용시장이 둔화하는지도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다. 임금상승률이 예상보다 끈질긴 모습을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가 예상만큼 빠르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번 주 10일에는 7월 CPI가 나온다. 연준의 다음 FOMC 정례회의인 9월 19~20일을 앞두고 나오는 2개의 물가지표 중 첫 번째다.


지난 6월 CPI는 전년 대비 3.0% 올랐고, 근원 CPI는 4.8% 올라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는 기대를 높인 바 있다. 그러나 이번 CPI에 대한 기대는 좀 더 낮춰야 할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7월 CPI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3% 올랐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전달의 3.0%보다는 오른 수준이다. 7월 근원 CPI는 4.7% 올라 전달의 4.8%에서 소폭 둔화하는 데 그칠 전망이다.


시장의 예상대로 물가지표가 나온다면 연준의 금리인상이 끝났다는 기대는 약화하고, 8월 물가지표까지 지켜보자는 관망세는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채시장의 움직임도 다시 주식시장에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 최근 들어 장기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주가의 하락 압력이 커졌다. 장기금리는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소식과 재무부의 3분기 국채발행 계획 등에 따른 물량 부담 등에 상승했다. 


장기금리의 상승은 기업들의 미래 수익의 가치를 떨어뜨려 성장주와 기술주에는 부정적이다. 기업들의 차입 부담도 늘어나게 된다.


이번 주 CPI가 예상보다 강한 모습을 보일 경우 금리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주식에 조정의 빌미가 될 수 있다.


이번 주에는 기업들의 2분기 실적발표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번 주에는 월트디즈니와 UPS, 일라이릴리, 윈리조트, 타이슨 푸즈 등의 실적이 나온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