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마지막 모습 보자" 입장까지 3시간 .
프란치스코 교황을 조문하기 위해 23일 바티칸 성베드로 광장 앞에 수많은 인파가 몰려들었다. /AP
본지 특파원 바티칸 가보니
성베드로 광장 주변 수만명
누워있는 교황, 고요하고 평안
프란치스코 교황의 마지막 모습을 보려는 사람들로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 입구는 23일(현지 시간) 새벽부터 북새통이었다.
이날 오전 5시, 일반인 조문이 시작되는 시각(오전11시)까지 6시간이나 남아 있었는데도 200여 명이 줄을 서 있었다. 분 단위로 사람이 불어났다. 미국인 그레고리(49) 부부는“올해 희년(25년마다 돌아오는 가톨릭의 성스러운 해) 순례차 큰 맘 먹고 왔다가 교황 선종을 마주하게 됐다”며 “오늘 저녁 귀국이라 그 전에 꼭 조문을 하고 싶어서 새벽부터 나왔다”고 했다.
교황의 고향 아르헨티나에서 온 유학생 키아라(30)는 “교황의 존재는 큰 위안이자 자랑이었다”며 “새벽에 이렇게 많은 사람이 올 줄은 몰랐다”고 했다.
오전 9시, 교황의 시신이 산타 마르타의 집 성당에서 성 베드로 대성당으로 운구되기 시작됐다. 광장은 이미 교황을 보려는 사람들로 입추의 여지가 없었다. 줄은 수백 m였다. “대성당 입장까지 3~4시간 걸릴 수 있다”는 말이 나오기 시작했다. 2005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선종 때는 10만명이 넘는 참배객이 몰리면서 수 ㎞의 줄이 늘어섰고, 조문까지 평균 여섯 시간이 걸렸다.
10시 30분, 교황 운구 의식을 보려 광장 맨 앞에 앉아 있던 5000여 명을 시작으로 대성전 입장이 시작됐다. 광장 뒤쪽에서 대기하던 1만명 인파도 한꺼번에 쏟아져 들어왔다. “드디어 문이 열렸다!”는 말이 여기저기서 들려왔다. 줄을 잘 못 선 사람들은 급한 마음에 통제선 울타리를 마구 뛰어넘기도 했다.
교황의 관은 바티칸 의전 요원 14명이 직접 어깨에 메고 운구했다. 케빈 패럴 교황청 궁무처장(추기경)과추기경단, 아르헨티나에서 온 교황 유족들의 모습이 보였다. 이윽고 교황의 관은 예수 그리스도의 수제자이자 초대 교황인 베드로의 무덤 앞에 안치됐다.
그 바로 앞에 20여m의 기둥 네 개가 받치는 화려한 청동 구조물인 ‘발다키노(천개·天蓋)’가 있다. 바로크 거장 베르니니(1598~1680)의 작품이다. 발다키노가 덮은 ‘고백의 제대’는 이 성당의 주 제대(祭臺)로, 교황만이 사용할 수 있다. 교황의 권위를 가장 잘 드러내는 장소다.
붉은 벨벳으로 감싸진 교황의 관은 살짝 기울어진 목재 받침대 위에 놓여 있었다. 패럴 추기경은 “주님, 당신의 종 프란치스코를 평화의 품에 받아 주소서”라고 기도했다. 붉은색 제의와 흰색 주교관을 쓴 채 눈을 감고 누워 있는 교황의 모습은 88년에 걸친 고단한 지상 여행을 이제야 겨우 마쳤다는 듯, 고요하고 평안했다. 조문을 마치고 나온 페데리카(39)는 “너무나 슬프지만, 교황의 마지막 모습을 뵐 수 있었다는 감동이 교차하는 묘한 느낌”이라고 했다
바티칸=정철환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