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매물로 내놓기 전에 실시, '양날의 칼'"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집 매물로 내놓기 전에 실시, '양날의 칼'"

웹마스터


'사전 인스펙션'은 무엇인가


살던 집을 판매하려고 결정한 홈오너라면 이것 저것 해야 할 일이 많다. 부동산 에이전트를 고용하고, 오픈하우스를 개최하고, 홈스테이징을 하는 것은 기본 중 기본이다. 이 외에 일부 셀러는 집을 매물로 내놓기 전에 집에 대한 ‘사전 인스펙션(pre-inspection)’ 을 실시한다. 사전 인스펙션에 대해 알아본다.


◇사전 인스펙션이란 

집을 매물로 내놓기 전에 진행하는 인스펙션을 사전 인스펙션이라고 부른다. 

셀러가 사전 인스펙션을 실시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리스팅을 하기 전에 집에 큰 결함이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사전 인스펙션을 실시했다는 점을 리스팅 정보에 포함시키면 바이어에게 신뢰감을 준다.


◇무엇을 점검하나

셀러가 사전 인스펙션을 하기로 결정했으면 비용은 본인 부담이다. 바이어가 인스펙션을 할 때 비용은  바이어가 책임져야 한다. 인스펙션은 전문 인스펙터가 실시한다. 인스펙터는 주택의 파운데이션, 외관, 지붕, 프레이밍, 창문, 벽, 문, 천장, 배관, 전기시스템, 에어컨·히팅 시스템 등을 꼼꼼히 체크하고 결정적인 결함이 있는지 콕 집어낸다. 


사전 인스펙션이 끝난 후 인스펙터는 인스펙션 리포트를 작성해 홈오너에게 전달한다. 사전 인스펙션 비용은 보통 280~400달러 정도 드는데 집의 위치한 지역과 집 사이즈에 따라 비용에 차이가 날 수 있다.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사전 인스펙션을 할지 말지 고민하는 홈오너라면 가장 먼저 리스팅 에이전트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집의 현재 상태, 건축연도, 재정상태 등을 따져본다. 사전 인스펙션을 하더라도 나중에 바이어의 인스펙션을 통해 새로운 문제점이 드러날 수 있다. 

사전 인스펙션은 ‘양날의 칼’이다. 셀러 입장에서는 이를 통해 문제점을 제거할 수도, 만들 수도 있다. 


구성훈 기자 la@chosundaily.com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