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유층도 소비에 신중"… 경기침체 우려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부유층도 소비에 신중"… 경기침체 우려

웹마스터

부유증들도 경기침체를 우려해 소비를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츠버그에 있는 노드스트롬에서 소비자들이 쇼핑을 하고 있다.  AP


5월 소비자심리 6개월래 최저

물가상승·금리인하 지연 여파


경기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소비도 냉각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잦아들지 않는 가운데 소비자 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부유한 사람들마저 소비에 더 신중해지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와 CNN이 19일 전했다.


최근 미시간대학이 내놓은 5월 소비자심리 예비치는 67.4로, 전월 77.2에서 크게 하락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또한, 이는 2021년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으로, 각 가정의 살림살이에 대한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반영하는 동시에 물가와 실업률, 이자율 모두 앞으로 수개월 동안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소비 습관도 바뀌고 있다. 맥도날드와 스타벅스를 비롯해 가정 인테리어 소매점 홈디포, 스포츠용품 업체 언더아머 등이 최근 실망스러운 실적을 발표했다. 소매판매는 2월과 3월만 해도 양호한 상승세를 보였으나, 4월에는 보합세였다.


경제는 여전히 눈에 띄게 강세를 유지하지만,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인플레이션 통제 노력이 이어지고 금리인하도 늦어지면서 최근 몇 달 동안 둔화했다. 


LPL 파이낸셜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제프리 로치는 WP에 "지난 몇 년간 경제는 가계 지출에 주도됐고, 이제 사람들은 '이만 줄이자'라고 말하기 시작했다"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마침내 고소득층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라고 말했다.


경제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는 소비자 지출은 인플레이션이 치솟은 지난 몇 년 동안 성장을 촉진, 미국이 경기침체에 빠지지 않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물가가 계속 높게 지속되고 여분의 예금이나 경기 부양용 지원금 등도 점점 사라지면서 가계들도 결국 소비 줄이기에 나섰다.


스타벅스 CEO 락스만 내러시먼은 지난 달 실적 발표 때 "소비자들이 좀 더 신중해지는 데 따른 영향을 느끼고 있다"며 "많은 고객이 소비처를 놓고 더욱 까다로워지고 있다"라고 말한 바 있다.


일반인뿐만 아니라 부유한 미국인들도 지출에 더 신중하게 됐다고 CNN은 전했다.


돈 많은 미국인은 지출을 통해 미국 경제의 활력에 많은 역할을 해왔지만, 내일이 없을 것처럼 소비를 과시하던 그들의 시대는 이제 끝나가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유명 패션 브랜드 버버리는 지난 3월 말에 끝난 회계연도에 미주 지역 매출이 전년 대비 12%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지난달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도 실적 발표에서 미국 내 고급 주류 부문의 수요가 급감했다고 밝혔다.


하트퍼드 펀드(Hartford Funds)의 야콥슨은 "기업의 CEO들과 최고재무책임자(CFO)들은 소비자들의 반발 때문에 가격 인상에 주저하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라고 CNN에 전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