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물가 고삐 풀렸다… 빈곤화 가속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지구촌 물가 고삐 풀렸다… 빈곤화 가속

웹마스터

취약계층 먹거리 체감물가 '껑충'

실질소득 줄고 식량난도 가중


강한 인플레이션이 지구촌을 짓누르고 있다.


특히 먹거리 물가 급등은 누구보다 더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에게 '가혹한 세금'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세계 경제가 물가는 더 뛰고 경기는 급격히 둔화하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경우 이들의 신음은 더 커지게 된다. 가난한 나라의 식량난도 악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남아시아의 빈국 방글라데시에서 올해 1월 식품 물가가 도시 4.85%, 지방 5.94% 올랐다.


현지 비영리 연구기관 '남아시아 경제모델링 네트워크(SANEM)’가 소외 계층이 체감하는 식품 물가 상승률을 추산한 결과 도시는 11.36%, 지방 11.21%로 나타났다. 빈곤층이 느끼는 식품 물가 상승률이 통계청 공식 발표치의 2배에 달한 것이다.


셀림 라이한 SANEM 이사는 지난 1일 이런 내용의 보고서를 내놓으며 "인플레이션은 소외된 사람들에게 가장 가혹한 세금"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빈곤층은 필수 식품 의존도가 높아 이를 줄일 수 없고 이들 품목의 가격 급등에 가장 큰 타격을 받는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국제 공급망 차질로 각국의 원자재 수입 가격이 뛰면서 식료품이나 기름 지출 비중이 부유층보다 높은 편인 서민들의 물가 시름이 더 깊어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의 1월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1년 만에 최고치인 7.2%를 기록한 가운데 한국은 하위권인 29위(3.6%)였지만 체감도는 높은 실정이다.


한국 내 소비자물가가 2월에 3.7% 올라 5개월째 3%대를 이어가고, 체감물가 상승률은 4.1%로 4%를 넘었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석유류와 가공식품 가격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물가 상승은 실질 소득 감소와 소비 위축으로 이어진다. 가계의 빈곤화를 부추길 수 있다.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48.7%)이 50%에 육박할 정도로 만성적인 고물가에 신음하는 터키에서는 코로나19 대유행까지 겹쳐 빈곤 문제가 악화하고 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