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 테러분자 미군 5미터까지 접근해 폭발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사회
로컬뉴스

IS 테러분자 미군 5미터까지 접근해 폭발

웹마스터

폭발 직후 카불 하미드 카르자이 공항 근처가 연기로 자욱하다. AP

 


카불 공항 자살 폭탄 테러

 

서방국가로 탈출 대기자 숙소 노려

국제사회 규탄 속 美 “대피작전 계속”

탈레반 “미군 지역 테러 공격 규탄”

 


아프가니스탄 공항에서 일어난 폭발은 27일 저녁(현지시간) 카불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애비 게이트와 이로부터 약 250m가량 떨어진 배런 호텔에서 2차례 발생했다. 배런 호텔은 서방 국가들이 카불 탈출 대기자들을 묵도록 하는 숙소로 알려졌다.


AP통신은 아프간 당국자를 인용해 이번 공격으로 아프간인 최소 60명이 사망했고, 부상한 아프간인도 143명이라고 보도했다. 케네스 맥켄지 미국 중부사령관은 언론 브리핑에서 미군 13명이 사망하고 18명이 부상했다고 확인했다. 이를 종합하면 아프간인과 미군 등 전체 사망자는 현재까지 72명이고 부상자는 150명을 넘는 상황이다. 대규모 폭발이 일어난데다 부상자가 상당해 사망자 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


더욱이 주요 매체들에는 앞선 두 차례 공격 후에도 카불에서 연쇄 폭발이 발생했다는 보도가 이어져 피해자가 더 늘어날 공산이 크다.


이런 가운데 IS는 자체 운영하는 아마크 뉴스통신을 통해 자신들이 이번 공격을 감행했다고 밝혔다. IS는 폭발물을 소지한 요원이 모든 보안 시설을 뚫고 미군의 5m 이내까지 접근해 폭발 벨트를 터뜨렸다고 말했다.


앞서 미 당국은 이 사건이 자살폭탄 테러일 개연성이 크고 IS의 소행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탈레반이 아프간을 장악한 이후 카불 공항에는 국외로 대피하려는 수천 명의 아프간 현지인이 모여들어 혼란을 빚는 상태다.


소셜미디어(SNS)에는 폭발로 인해 다친 시민들이 병원으로 옮겨지는 사진 등이 올라왔다. 미국 등 서방국가가 오는 31일 대피 작전과 철군 완료로 목표로 하는 가운데 그간 공항 주변의 자살폭탄 테러 가능성 등 경고가 이어져 왔고, 특히 미국은 IS의 테러 가능성을 잇달아 경고했다.


맥켄지 중부사령관은 IS의 공격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 뒤 카불 현지에 1000명의 미국인 남아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폭탄테러에도 불구하고 대피작전은 계속된다고 밝혔다. 영국과 프랑스 등 서방 국가들도 구출 작전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다수의 민간인을 살해하고 다치게 한 테러리스트 공격을 규탄한다"는 입장을 냈다. 그는 오는 30일 영국, 프랑스, 미국, 중국, 러시아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의 유엔대사들과 함께 아프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회의를 소집했다.


탈레반의 자비훌라 무자히드 수석대변인은 "카불 공항의 미군 통제 지역에서 발생한 테러 공격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