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그세스 국방, 실언모자라 기밀 유출까지
취임이후 '실수 연발' 역량 도마에
일부 "트럼프보다 앞서려는 과욕"
취임 직후부터 여러 실언과 실수 등으로 구설에 올랐던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사진)이 이번에는 민간 메신저에서 기밀 작전을 논의하고 외부에 유출까지 했다는 논란에 휩싸이면서 역량 부족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마음이 앞선 헤그세스 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을 대통령 본인보다도 더 강도 높게 밀어 붙이려다 되려 연일 '헛 발질'을 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전쟁기밀 유출 논란이 있기 전에도 헤그세스 장관이 취임 후 보낸 두 달은 "험난한 2개월"이었다면서 이번 일로 그에게 새로운 역경이 닥쳤다고 진단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지난 15일 미군이 예멘 후티 반군을 공습하기 약 2시간 전에 해당 작전 내용을 민간 기업의 메신저인 '시그널'을 이용해 안보 당국자들과 논의하며 그 과정에서 언론인 등 외부에 그 내용을 유출한 것으로 파악됐다. NYT는 헤그세스 장관이 이번에 보안이 취약한 앱에서 공습 계획을 노출함으로써 미국 군인들의 생명을 위험에 빠트렸다고 지적했다.
헤그세스 장관 취임 후 그와 국방부가 논란의 중심에 선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월 25일 성 추문논란을 딛고 취임한 헤그세스 장관은 첫 국제무대 데뷔 자리였던 지난 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국방장관 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계획과 관련한 '실언'으로 구설에 올랐다.
당시 그는 유럽 장관들 앞에서 "우크라이나의 국경을 2014년이전으로 되돌리는 것이 비현실적인 목표임을 인정해야 한다"며 사실상 우크라이나의 '영토 양보'를 압박하는 듯한 발언을 쏟아냈다.
강도높은 발언 수위에 유럽뿐 아니라 미국 공화당 내에서도 비판이 제기됐고, 결국 헤그세스 장관은 발언 후 24시간 만에 영토 문제는 당사국들 간의 대화로 결정될 문제라며 발언을 주워 담았다.
NYT는 이러한 헤그세스 장관의 실수가 트럼프 대통령 본인보다도 더앞서려는 과도한 의욕에서 비롯됐다고 풀이했다. 국방부 당국자들과 보좌진들에 따르면 헤그세스 장관은 취임 당시 트럼프 대통령을 '능가'할 만큼 그의 기조를 앞장서서 실현하려는 다짐을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DEI(다양성·평등·포용) 철폐' 행정명령에서명하자 헤그세스 장관은 그 즉시 성전환자의 군 복무를 금지 시켰다. 그러나 공화당 내부에서도 헤그세스 장관의 이러한 행보가 과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공화당 소속 위커 상원 군사위원장과 마이크 로저스 하원 군사위원장은 국방부 내부의 나토 사령관직 포기 계획이 "백악관과 국회와의 조율 없이" 이뤄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