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22일] 기업 실적호조에 반등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뉴욕증시 22일] 기업 실적호조에 반등

웹마스터

S&P500지수 4000 회복 마감


22일 뉴욕증시는 중국의 코로나19 상황을 주시하며 베스트바이 등 소매기업들의 실적호조에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지수는 397.82포인트(1.18%) 오른 3만4098.10으로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53.64포인트(1.36%) 상승한 4003.58로, 나스닥지수는 149.90포인트(1.36%) 뛴 1만1174.41로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지난 9월 12일 이후 처음으로 4000포인트를 웃돌아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중국의 코로나19 상황, 기업실적, 연준 당국자 발언 등을 주시했다. 많은 트레이더가 오는 24일 추수감사절 휴일을 앞두고 자리를 비우면서 거래량은 평소보다 줄었다.


다우존스 마켓 데이터에 따르면 전날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된 주식의 거래량은 지난 8월 29일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거래량 기준 올해 들어 6번째로 낮은 날이었다.


중국의 코로나19 상황이 더욱 악화하면서 투자자들의 경계심도 유지됐다. 중국 방역 당국에 따르면 중국 본토 신규 감염자는 전날 기준 2만7307명으로 엿새째 2만 명대를 유지했다.


투자자들은 23일 발표되는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도 주목했다. 시장은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느려지더라도 최종금리가 예상보다 더 높아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연준의 긴축 우려가 커지면서 미국의 침체 우려도 동반 상승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경기둔화 우려에 장기물 국채 수요가 몰리면서 3.8% 아래에서 마감했고, 2년물 국채금리는 4.52% 근방에서 거래를 마쳤다. 둘 간의 금리 스프레드는 -76bp로 확대돼 1981년 10월 이후 역전 폭이 가장 커졌다. 장단기물 금리역전은 경기 침체의 전조로 해석된다.


그러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내년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내년 전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2.2%로 제시했다. 내후년에는 2.7%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내년 성장률은 0.5%로 제시됐다. 


소매기업들의 실적은 블랙 프라이데이를 앞두고 예상보다 강한 모습을 보였다. 델 테크놀로지의 주가는 분기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 6%가량 올랐다. 베스트바이는 시장의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고 연간 전망치를 상향했다는 소식에 주가는 12% 이상 올랐다. 딕스 스포팅 굿즈도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해 주가가 10% 이상 상승했다.


줌 주가는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음에도 순이익 가이던스가 예상에 못 미치면서 4%가량 하락했다. 의류업체 아비크롬비앤피치의 주가도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면서 21% 이상 올랐다. 달러트리는 예상치를 웃돈 실적에도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연간 순이익 가이던스를 하향하면서 주가는 7% 이상 하락했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