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러시아공장 헐값에 매각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현대차, 러시아공장 헐값에 매각

웹마스터

현대차의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공장. /현대차 

3억2000만달러짜리 110달러에

러-우크라 전쟁으로 가동중단

2년 내 되살 수 있는 '바이백' 조건


현대차가 19일(현지 시간) 임시이사회를 열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러시아공장(HMMR)의 지분 매각 안건을 승인했다고 공시했다. 지난 2020년 인수한 제너럴모터스(GM) 상트페테르부르크공장도 함께 매각한다. 매각 대상은 러시아 현지업체인 아트파이낸스이며, 매각금액은 약 110달러(1만루블)인 것으로 확인됐다.


현대차는 "러시아공장의 매각을 다양하게 검토한 결과 현지업체 중에서는 아트파이낸스가 가장 유리한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대차는 매각 후 2년 내 공장을 되살 수 있는 '바이백' 조건을 내걸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난 뒤 재진출 가능성을 열어둔 셈이다.


현대차는 러시아 현지 상황 등을 고려해 기존 판매된 차량에 대한 애프터서비스(AS)는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옛 소련 붕괴 이후 1990년대 들어 러시아 수출을 시작한 현대차는 2007년 현지 법인을 설립해 본격적으로 러시아시장에 진출했고, 2010년 6번째 해외 생산거점인 상트페테르부르크공장을 준공, 이듬해인 2011년 현지생산을 시작했다.


러시아 기후 특성을 고려한 현지 맞춤형 소형차 쏠라리스, 해외시장 모델인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크레타, 기아 리오 등이 현대차 러시아공장에서 생산되며 판매호조를 보였고, 현대차는 러시아 내수시장에서 점유율(판매량 기준) 3위권대 업체로 호실적을 유지했다.


현대차는 이러한 실적에 힘입어 2020년에는 연간 10만대 생산능력을 갖춘 GM의 상트페테르부르크공장도 인수했다.


현대차 러시아공장의 생산량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직전인 2021년 기준으로 23만4000대 규모였다.


그러나 지난해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그에 따른 국제사회 제재로 러시아에서 자동차 부품 수급이 어려워지자 그해 3월부터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러시아공장 가동 중단과 함께 현지 판매량도 크게 줄었다. 유럽비즈니스협회(AEB)에 따르면 현대차의 러시아 시장 판매량은 지난해 2892대에서 올해 8월에는 6대로 곤두박질쳤다.


현대차뿐만 아니라 비(非)러시아업체들의 판매량도 크게 줄면서 도요타, 르노 등 다른 완성차업체들은 일찌감치 러시아에서 철수했다.


주진희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