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기업들 무노조 경영 '흔들'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美 기업들 무노조 경영 '흔들'

웹마스터

대졸노동자 증가 영향


무노조 경영을 고수하던 미국기업 사이에서 최근 노동조합이 결성되는 사례가 느는 것은 대졸노동자 증가의 영향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뉴욕타임스(NYT)는 28일 2008년 국제 금융위기 이후 질 좋은 일자리가 대거 사라지면서 도소매업 종업원이나 물류 배송 등 전문지식이 필요 없는 업종을 선택하게 된 대졸자들이 노조 결성을 주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NYT는 최근 노조설립 투표가 가결된 뉴욕 스태튼아일랜드의 최대 아마존창고인 'JFK8'를 예로 들었다. 노조운동 지도자 중 1명은 대학에서 항공학을 전공한 코너 스펜스였다. 스펜스는 코로나19 사태 초기 아마존이 방역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창고직원 크리스천 스몰스를 해고하자 노조설립 운동에 뛰어들었다.


노조운동에 대한 서적을 탐독한 그는 아마존의 노조설립 저지작업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했다. 지난해 12월 무노조 경영을 고수하던 세계 최대 커피체인 스타벅스에서 최초로 탄생한 뉴욕주 버펄로의 스타벅스 노조도 마찬가지다.


최근 미국사회에 대한 젊은층의 절망적인 시각도 노조결성을 촉진하는 요인이 됐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부모세대의 경우 대학을 졸업해 열심히 일하면 편안한 삶이 가능했지만, 현재에는 부모세대와 같은 삶이 불가능해졌다는 것이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