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간전망] CPI·국채금리·기업실적 결과에 변동성 지속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뉴욕증시 주간전망] CPI·국채금리·기업실적 결과에 변동성 지속

웹마스터

이번 주 뉴욕증시는 소비자물가지수와 국채금리, 기업의 1분기 실적 발표 등에 따라 변동성 큰 한 주가 될 전망이다. 뉴욕증권거래소 모습.   AP


연준 은행총재 발언에 촉각


이번 주(9~13일) 증시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와 국채금리 움직임에 높은 변동성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후 연방준비제도(연준) 당국자들의 발언이 줄줄이 나올 예정이라 회의 결과에 대한 각 위원의 발언에 시장이 들썩일 가능성도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회의 이후 기자회견에서 75bp 금리인상 가능성을 배제했으나, FOMC 회의 이후 처음 나오는 위원들의 연설에서 연준 내 긴축 속도에 대한 분위기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초부터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와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톰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의 연설이 예정돼 있다. 주 후반에는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도 연설에 나선다.


이번 주 나올 지표 중에 가장 주목되는 것은 11일 나오는 4월 CPI이다. 가파른 물가 상승세가 공격적인 긴축의 빌미가 돼 왔다는 점에서 추세에 변화가 생길 경우 시장에 분위기가 단번에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4월 CPI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1% 올랐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전달 기록한 1981년 12월 이후 최고치인 8.5% 상승에서 낮아진 것이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0.2%를 기록해 전달의 1.2%보다 크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인플레이션이 고점에 이르러 둔화하고 있다는 신호가 나오면 연준의 공격적 긴축에 대한 우려는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근 2018년 이후 처음으로 3%를 돌파한 10년물 국채금리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 금요일 10년물 금리는 3.13%까지 올랐다. 연초에 10년물 금리가 1.5% 근방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두 배 이상으로 오른 셈이다.


금리상승은 미래 수익을 할인하고, 기업들의 차입 부담을 높인다는 점에서 고밸류에이션 주식인 성장주와 기술주에 부담을 준다. 지수 전체 시가총액의 비중이 대형 기술주에 집중돼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주가하락은 지수 전체에도 부담이 된다.


이번 주에는 기업들의 1분기 실적도 계속 나올 예정이다. 최근 발표된 기업들의 실적은 공급망 악화와 인플레이션 상승에 따른 비용 부담으로 대체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팩트셋에 따르면 6일 기준 지금까지 S&P500지수에 87%의 기업이 분기 실적을 발표했으며, 이 중의 79%가 예상치를 웃도는 주당순이익(EPS)을 발표했다. 이는 5년 평균인 77%를 웃도는 수준이다. 그러나 기업들의 EPS 증가율은 9.1%를 기록해 2020년 4분기(3.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번 주에는 타이슨푸드, 바이오앤테크, 펠로톤, 로블록스, 월트디즈니, AMC엔터테인먼트, 비욘드미트, 리비안, 팔란티어 등의 실적이 나올 예정이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