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대부' 노벨물리학상 받았다
202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프린스턴대학 존 홉필드 교수(왼쪽)와 토론토대학 제프리 힌턴 교수. /AP
美 존 홉필드, 英 제프리 힌턴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현재의 인공지능(AI)의 시대를 연 인공신경망 연구로 기계 학습(머신 러닝)과 심층 학습(딥 러닝)의 토대를 놓은 이들에게 수여됐다.
‘AI의 겨울’로 불리는 1970~2000년 암흑기에서 벗어나고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로 꽃을 피우는 데 기여한 공로로 AI 연구자에게 사상 첫 노벨상이주어졌다는 평가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8일(현지 시각) 존 홉필드(91) 프린스턴대 교수와 제프리 힌턴(77)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를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AI의 대부’로 불리는 힌턴 교수와 홉필드 교수의 이번 수상은 물리학계에서도 예상 밖이라는 반응이다. 노벨위원회는 “신소재 개발을 비롯해 물리학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인공 신경망이 분석 도구로 활용되고 있고, 과학 전반과 일상생활에혁명을 일으키고 있다”며 “이들의 연구로 인류는 다양한 문제해결의 돌파구를 마련했다”고 했다.
홉필드 교수는 AI 학습의 기본이 되는 연관 기억의 원리를 1982년에 인공 신경망 연구에 처음으로 적용했다. 예컨대 사람의 경우 특정 단어(사장)가 갑자기 떠오르지 않고 뒤 글자(장)만 생각날 때 ‘가장’ ‘도장’ 등을 연상하며 기억하려 애쓰는 것처럼, 컴퓨터에서 데이터(패턴)가 불완전할 경우 기존에 저장된 패턴 중에서 가장 유사한 것으로 찾아가는 방식을 제시한 것이다.
‘AI 4대 천왕’으로 꼽히는 힌턴 교수는 심층 학습의 개념을 확립했다. 예컨대 AI가 수 천만 장의 사진을 통해 개와 고양이를 구별하는 학습을 할 때 인간 뇌의 정보 처리 방식처럼 단계를 세분화해 깊이를 더하는 심층 신경망을 고도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