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증명서에 포함, 학년 석차에 큰 영향 미쳐"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사회
로컬뉴스

"성적증명서에 포함, 학년 석차에 큰 영향 미쳐"

웹마스터

9학년 GPA 입시에서 얼마나 중요한가


9학년 때 GPA가 명문대 입시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궁금해하는 학생 및 부모가 많다.

정해진 공식은 없지만 9학년 성적 또한 대입원서에 기입해야 하고, 성적증명서에 나타나기 때문에 입학사정관의 눈을 피해갈 수는 없다.

9~12학년 성적이 모두 우수한 학생이 9학년 때 B나 C를 받은 학생보다 더 매력적으로 보일 것이다. 만약 우수학생이 많은 고등학교에서 발레딕토리안 경쟁을 하는 학생이라면 9학년부터 올 A를 받아야 한다. B가 하나라도 찍히면 학년 석차 1등은 물 건너 갔다고 보면 된다. 그만큼 4년내내 난이도 높은 수업들을 듣고 올 A를 받는 학생이 많다는 얘기다. 학년 석차를 정하는데 필요한 GPA는 9~12학년 성적을 모두 포함시켜 계산한다.

성적은 학업수행 능력 뿐만 아니라 학생의 시간관리 능력, 적응력, 인내심, 끈기 등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한 조사에 의하면 9학년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의 대학진학률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높다. 또한 9학년 때 공부를 잘 한 학생일수록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업적으로 성공할 확률도 높다. 

9학년 때 학교 공부를 어려워 한다면 하루 빨리 필요한 도움을 얻어야 한다. 

10학년, 11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수업 난이도가 높아진다. 보통 9학년 때 AP 과목 1~2개를 택했다면 10학년과 11학년 때 AP과목 수가 늘어나면서 좋은 성적을 유지하는게 힘들어 질 수도 있다. 일부 학생들은 여러 개의 과외활동을 하면서 최고 성적을 유지하지만 어떤 학생들은 그렇지 않다. 

과외활동에 신경 쓰느라고 성적이 떨어져 걱정하는 학생이 적지 않다. 만약 과외활동 때문에 시간 관리가 힘들어 성적이 하락하는 경우라면 액티비티 중 일부는 줄이는게 현명하다. 아무리 액티비티가 화려해도 성적을 망치면 빛을 발하지 않는다. 학생이 가장 좋아하고 성과를 내는 활동만 남기고 다른 활동을 정리해야 한다. 


김수현 교육 객원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