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A 끌어올리고 SAT·ACT 고득점 받아라"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사회
로컬뉴스

"GPA 끌어올리고 SAT·ACT 고득점 받아라"

웹마스터

올 한해동안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자. 아이비리그 다트머스 칼리지 캠퍼스. /Dartmouth College


고교생이 2024년 달성해야 할  5가지 목표 

관심 끄는 분야의 직업세계 탐험하고

퍼블릭 스피킹 스킬 키우면 큰 도움

 


2024년 청룡의 해가 밝았다. 많은 사람이 그렇듯 고교생들도 새해에 성취하고 싶은 목표가 있을 것이다. 학생으로서 구체적인 학업 목표를 세운다면 자칫 방심해서 궤도를 이탈하지 않도록 중심을 잡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직업적 목표, 개인적 목표는 방대할 수 있지만 학업적 목표는 현실적이어야 한다. 실행할 수 있는 목표를 세우고 이것을 정기적으로 리뷰해야 한다. 그래야 꾸준히 동기가 부여되고 초점을 놓치지 않을 것이다. 


◇GPA 높이기 

대학 입시에서 성적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많은 학생들의 학업적 목표에서 성적이 빠질 수 없다. 그러나 비현실적으로 목표를 설정해서 과도한 부담을 느끼다가 녹초가 되면 안 된다. 이럴 경우 오히려 정신 건강을 해치거나 심지어 신체 건강까지 위협할 수 있다. 

9학년 성적이 어떻든 앞으로 남은 기간동안 상향 트렌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매 학기 성적을 향상시키라는 뜻이다. 대학의 입학 사정관들은 성적표에 상향 트렌드가 보이는 것이 대학 학업을 위한 준비라고 여긴다. 

만약 9학년 때부터 모든 과목에서 A를 받았다면, 남은 기간동안 그 성적을 유지하도록 노력하라. 그러나 9학년 때 B나 C가 있었다면,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적 향상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표준시험 준비하기 

SAT, ACT 준비를 언제 시작해야 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몇 년간 많은 대학들이 테스트 옵셔널 정책으로 바꾸기는 했지만, 표준시험 점수는 여전히 입시에서 고려되는 요소 중 하나다. 뛰어난 점수를 획득하면 대학에 제출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SAT나 ACT 중 하나를 선택한 뒤 최고의 점수를 받을 수 있도록 힘을 써라.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SAT나 ACT의 연습 시험을 치러 어느 것이 나에게 더 맞는지 결정하자. 두 시험 중 무엇을 선택하든, 일정 기간 실현 가능한 점수에 도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직업 계획 세우기 

많은 학생들은 미래의 직업을 준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교육을 생각한다. 

그러므로 특정 직업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자격과 경험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나의 관심과 스킬에 부합하는 산업군과 직업, 환경이 무엇인지 리서치 하라. 구체적인 직업을 결정했다면, 이것을 현실화하기 위해 어떤 교육과 훈련이 요구되는지 알아보라. 

직업 계획과 관련, 장기적인 목표와 단기적인 목표를 세울 수 있다. 단기적 목표는 관련된 여름 인턴십을 찾는 것 등이 해당될 것이다. 장기적인 목표로는 대학원 프로그램을 수료하거나 자격증을 획득하는 것 등이 있을 것이다.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고등학교 카운슬러와 상담해 보자. 

카운슬러는 어떤 직업이 나의 관심과 학업적 강점에 잘 맞을지 정보를 주고, 관련된 독립 프로젝트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 터득하기 

고등학교 성적을 향상시키고, 대학에서 학업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을 터득하는 것이다. 

AP 수업의 강도를 소화하고 매년 5월에 치르는 AP 시험을 준비하는데도 공부 습관을 바르게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사람마다 자기에게 맞는 공부 방법이 있다. 여러 방법을 시도하면서 나에게 어떤 것이 최적인지 파악해야 한다. 어떤 학생은 교과서를 읽으면서 비디오를 보는 것이 맞고, 어떤 학생은 팟캐스트를 듣는 것이 효과적이며, 어떤 학생은 온라인 수업으로 학습 효과를 높인다. 

◇퍼블릭 스피킹 스킬 향상시키기 

퍼블릭 스피킹 스킬은 개인적으로, 학업적으로, 직업적으로 여러 혜택을 준다. 

퍼블릭 스피킹이란 사람들 앞에서, 대중 앞에서 말하는 것을 뜻한다. 학교 수업 시간에 프로젝트를 발표하거나 직장의 미팅에서 업무 관련 프리젠테이션을 할 때도 퍼블릭 스피킹 스킬이 필요하다. 남들 앞에서 말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긴장되고 떨리는 경험이다. 

그러나 퍼블릭 스피킹에 대해 자신감을 키우면 대학 뿐만 아니라 이후 사회 생활을 할 때도 더 다양한 기회에 도전할 수 있고, 리더십과 매니지먼트 스킬을 확장하는데 도움이 된다. 

고등학생 때부터 거울 앞에서 내가 말하는 것을 쳐다보면서 연습을 하거나, 말하는 영상을 녹화하고 리뷰하면서 어떤 점을 개선하면 좋을지 연구할 수 있다. 

학교에 디베이트나 스피치 클럽이 있다면 관련 활동을 꾸준히 활동하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다. 유튜브에서 TED 토크를 찾아 보면서 말하는 사람이 어떤 테크닉을 쓰는지 관찰하라. 

스피치를 어떻게 구성하고 청중을 끌어들이는 기술이 무엇인지 분석하라. 몸짓 언어와 표정, 눈맞춤, 제스처 등도 퍼블릭 스피킹 스킬에 포함된다. 


김수현 교육 객원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