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나의 빛'으로 전자세계 창 열다…노벨 물리학상 3인 수상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사회
로컬뉴스

'찰나의 빛'으로 전자세계 창 열다…노벨 물리학상 3인 수상

웹마스터

왼쪽부터 피에르 아고스티니, 페렌츠 크러우스, 안 륄리에. /AP


"빛으로 시간 썰어낸 트리오"

아고스티니·크러우스·륄리에

"산업에 유용한 도구 될 것"


2023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원자 내부에 있는 전자의 움직임을 잡아낼 정도로 파장이 짧은 '찰나의 빛'을 만들어내는 새 실험방법을 고안해 낸 과학자 트리오인 피에르 아고스티니(70), 페렌츠 크러우스(61), 안 륄리에(여·65)가 선정됐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3일 '물질의 전자역학 연구를 위한 아토초(100경분의 1초) 펄스광을 생성하는 실험 방법'과 관련한 공로로 이들에게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한다고 밝혔다. 륄리에는 역대 다섯 번째이자, 2020년 이후 3년 만에 나온 여성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다. 영국의 과학전문 주간지인 뉴사이언티스트는 "이번 노벨 물리학상이 빛으로 시간을 썰어낸 트리오에게 갔다"고 보도했다.

노벨위원회는 "이 세 명은 인류에게 원자와 분자 안에 있는 전자의 세계(world of electrons)를 탐사할 새로운 도구를 건네준 실험들을 한 공로가 인정됐다"고 설명했다. 전자가 움직이거나 에너지량이 변화하는 과정을 측정할 수 있는 극도로 짧은 파장을 지닌 빛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선보임으로써 미시세계 연구의 신기원을 열었다는 것이다. 

륄리에는 1987년 불활성 가스를 통과하는 적외선 레이저광에서 다양한 파장과 주파수의 빛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어 2001년 아고스티니는 250아토초의 파장을 지닌 일련의 연속적 펄스광을 만들어내고 조사하는 데 성공했고, 이와 동시에 크러우스는 650아토초 길이의 파장을 지닌 단일한 펄스광을 분리해 내는 성과를 냈다. 노벨위원회는 수상자들의 공적에 대해 "너무 빨라 이전에는 지켜보는 것이 불가능했던 과정들을 조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고 말했다.

아고스티니는 오하이오 주립대 소속이고, 크러우스는 독일 막스플랑크 양자광학연구소, 륄리에는 스웨덴 룬드대학 소속이다. 국적의 경우 아고스티니가 프랑스인이고, 크러우스는 헝가리·오스트리아인, 륄리에는 프랑스·스웨덴인이라고 보도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