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의 상징이었는데… 이젠 제거대상 된 '야자수'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사회
로컬뉴스

LA의 상징이었는데… 이젠 제거대상 된 '야자수'

웹마스터

폭염 심해도 그늘 별로 없어

"다른 가로수로 대체" 목소리


“남가주는 더 많은 그늘이 필요하다. 이제 야자수(팜트리)를 버려야 할 때인가?”

LA타임스에(LAT) 이달 초 이런 제목의 기사가 주요 지면에 실렸다. 신문은 일단 "우뚝 솟은 줄기와 두꺼운 잎을 지닌 야자수는 오랫동안 LA의 스카이라인을 지배해 왔으며, 많은 사람에게 이 지역의 햇살 가득한 번영의 약속을 상징한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신문은 야자수가 이 지역의 토착 식물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1800∼1900년대 이 지역에 정착한 주민들이 외국에서 야자수를 들여와 심기 시작했으며, 1930년대에 야자수 심기 붐이 일어난 결과로 야자수가 많아졌다는 것이다.

LAT는 "미국의 다른 도시들도 야자수의 역할과 미래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있다"면서 플로리다주 남부의 웨스트팜비치가 기후 위기에 맞서기 위해 야자수를 폐기하겠다고 발표한 사례를 들었다. 마이애미 비치 역시 향후 30년 동안 도시 가로수 중 야자수의 비율을 기존 60%에서 25%로 줄이겠다는 계획을 수립했다고 한다.

가주산림소방국도 도시·지역사회 산림 조성 보조금 수령자가 야자수를 심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수목 전문가들은 야자수가 유지·관리에 비용이 많이 들고 다른 가로수 만큼 혜택이 많지 않다고 설명한다.

특히 올해처럼 미 서남부에 폭염이 장기화했을 때 그늘을 거의 만들어주지 않는다는 점은 치명적인 단점으로 꼽힌다. 이 기사가 나온 뒤 독자들이 보낸 의견도 "동의한다"는 쪽이 많았다.

패서디나 주민 제프 베넷은 "식물학적으로 야자수는 나무가 아니라 풀에 더 가깝다"며 "야자수는 나무가 주는 혜택을 전혀 제공하지 않는다"고 거들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