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 누가 이기든 임기 완주는 '글쎄'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사회
로컬뉴스

미국 대선, 누가 이기든 임기 완주는 '글쎄'

웹마스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오른쪽)/ AP 


'최고령 기록 보유자'끼리 맞붙을 판  

"바이든 75% 가능성, 트럼프도 비슷"

세계 지도자 젊어지는데 미국만 '따로'



올해 11월 미국 대선이 '역대 최고령 대통령' 기록 보유자들 간의 대결로 치러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누가 이기든 임기를 완주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고령으로 별세하거나 치매, 뇌졸중 등 노인성 질환으로 정상적인 직무 수행이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란 이유에서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9일 재선에 도전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나이와 관련한 각종 연구결과를 소개하며 이와 관련한 논란을 조망했다.

공화당 대선후보로 유력한 트럼프 전 대통령은 현재 77세이고, 대선일인 오는 11월 5일에는 78세가 된다.

그와 맞붙게 될 바이든 대통령은 현재 81세이고, 만약 재선에 성공한다면 86세까지 임기를 수행하게 된다.

작년 공개된 미국 싱크탱크 퓨리서치 센터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세계 187개국 최고지도자 중 트럼프와 바이든보다 나이가 많은 경우는 8명에 불과하다.

1950년대 이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속한 선진국들에서 갈수록 젊은 나이에 대통령이나 총리직에 오르는 양상이 나타나 왔다는 점에 비춰볼 때 이 두 사람이 연달아 미국 대통령이 된 건 이례적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짚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취임 당시 70세로 역대 최고령 대통령으로 꼽혔고, 이 기록은 4년 뒤 바이든 대통령이 78세의 나이로 취임하면서 재차 경신됐다.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OECD 선진국 최고지도자의 평균 나이는 현재 55.5세로 50년 전(60.2세)보다 5세 가까이 낮아졌다. 프랑스에선 이날 올해 만 34세인 가브리엘 아탈 교육부 장관이 신임 총리로 임명되기도 했다.

30f069496db991f4d0659c41914871ae_1704991539_9105.jpg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