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천년의 수퍼푸드"… 김치의 비결 'onggi' 조명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사회
로컬뉴스

"韓 천년의 수퍼푸드"… 김치의 비결 'onggi' 조명

웹마스터

옹기 김장독에 담긴 김치. /한국문화재청 제공


WP "김장독 옹기에 뚫린 구멍

유산균 이산화탄소 호흡 도와"


미국의 유력 일간지가 겨우내 땅 속에서 숙성시켜 김치 맛을 내는 전통적 발효 방식의 과학적 원리를 집중 조명했다.


특히 얼마 전부터 중국 일각에서 제기돼온 김치의 '중국 기원설' 주장에 얽히지 않으려는 듯, 김치를 한국인들이 예부터 즐겨온 "수퍼 푸드"라고 소개했다는 점에서 더욱 관심을 끈다.


워싱턴포스트(WP)는 7일 보도에서 "1000년도 더 되는 시간 동안 맵고 톡 쏘는 맛을 가진 한국의 배추 요리 김치는 옹기라고 불리는 토기에서 발효돼 왔다"며 최근 영국 왕립학회 학술지 '인터페이스 저널(RSIF)'에 실린 연구 결과를 전했다. WP는 흙으로 빚어 김치 저장과 숙성에 사용하는 항아리 '옹기'를 발음 그대로 'onggi'라고 표기했다. 김치도 'kimchi'라고 썼다.


그러면서 "김치는 특유의 톡 쏘는 느낌과 신맛을 주는, 장에 유익한 박테리아 덕에 '슈퍼 푸드'로 유행하게 됐다"며 "최고의 김치는 토기 항아리에서 만들어진다"고 소개했다.


RSIF 연구진은 땅 속에 묻히는 옹기 안팎에 미세한 구멍들이 새겨져 있으며, 이것이 김치 속 유산균이 만들어내는 이산화탄소를 김칫독 밖으로 마치 숨 쉬듯 내뿜을 수 있도록 돕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