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처럼 번진 현대차·기아 차 도난, 당국 허점 탓"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사회
로컬뉴스

"유행처럼 번진 현대차·기아 차 도난, 당국 허점 탓"

웹마스터

기아의 차량 절도 방지 업데이트 행사./ 스펙트럼 TV 화면 캡처 


 "이모빌라이저 의무화 요구 안 해"

 WP '당국의 규제 부실 큰 책임' 지적  




 "전적으로 규제의 허점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워싱턴포스트(WP) 칼럼니스트이자 편집위원인 헤더 롱은 10일 게재한 칼럼에서 미국의 10대들 사이에서 최근 몇 년간 놀이처럼 번지고 있는 현대차·기아 차량 절도의 책임을 당국의 규제 부실로 지목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자신의 기아 쏘울 승용차를 워싱턴 DC 경찰청 앞에 주차한 뒤 경찰 헬리콥터를 타고 취재에 나섰다며, 정작 돌아와 보니 경찰차 사이에 세워 둔 자신의 차를 누군가 훔치려고 시도한 흔적이 발견됐다고 공개했다. 그는 "도둑들은 뒷유리 와이퍼를 뜯어냈다. 나중에 알아본 바에 따르면 이를 통해 차량의 와이퍼 제어를 망가뜨릴 수 있다고 한다"며 "운전석에는 문을 따고 들어가려 한 흔적이 곳곳에 있었고, 뒷좌석 창문을 부수기 위한 상처도 여러 군데에서 확인됐다"고 당시 경험을 적었다.

칼럼에 따르면 워싱턴에서 지난해에만 1000여건의 차량 탈취와 6800건 이상 차량 절도가 발생했다. 이는 2022년과 비교해 80% 넘게 증가한 수치다. 칼럼은 "이 같은 10대들의 정신 나간 현대차·기아 차량 절도 행위는 미국에서만 고유한 일"이라며 "캐나다와 유럽에서는 이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2007년부터 캐나다와 호주를 비롯한 대부분 선진국에서는 자동차 제조사들의 점화 이모빌라이저 부착을 의무화했다"면서 하지만 미국은 여전히 이를 부착할 것을 자동차 제조사에 요구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주진희 기자

30f069496db991f4d0659c41914871ae_1704991490_1093.jpg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