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 비대면 디지털 신원확인 서비스 도입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사회
로컬뉴스

재외동포 비대면 디지털 신원확인 서비스 도입

웹마스터

이기철(오른쪽) 재외동포청장과 이원태 한국인터넷진흥원장이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있다. / 재외동포청


재외동포청-인터넷진흥원 MOU

더 이상 한국 휴대폰 인증 필요 없어


한국에서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할 때 반드시 거쳐야했던 ‘한국 휴대폰 인증’이 더 이상 필요없게 됐다.  

재외동포청(청장 이기철)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원태)과 공동으로 ‘2024년 재외동포 인증센터 도입’을 통해 전자여권과 카카오, 네이버 등 민간 전자인증 앱을 활용한 민∙관 연계 비대면 디지털 신원확인 서비스를 제공, 재외동포들의 오랜 숙원을 풀어줄 계획이다. 

재외동포청은 2일 한국인터넷진흥원과 재외동포 비대면 신원확인 체제 도입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협약서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한국 정부는 국정과제 중 하나로 재외동포 디지털 비대면 서비스 강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업무협약은 해외에서 한국 내 민원 및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재외동포들에게 비대면 디지털 신원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관 간 상호교류 및 협력관계를 구축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현재 재외동포들이 한국 내 디지털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또는 신용카드 인증, 아이핀, 전자서명 인증서 등을 통한 본인 확인이 필요하며 이들 모두 내국인 기준 본인 확인 방법이다. 

재외동포들은 해외 현지에서 불필요한 한국 내 휴대전화 가입 유지 또는 한국 내 신용카드 보유, 원거리 재외공관 직접 방문 등의 번거로운 과정이 필요하며, 한국 내 디지털 서비스의 정상적인 이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한국 내 휴대전화 가입 유지와 재외공관 방문으로 인한 교통비, 숙박비 등 사회적 비용 발생도 유발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된 바 있다. 

향후 재외동포청과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재외동포인증센터(가칭) 설치 및 운영 사업 ▲재외동포 비대면 신원확인 법‧제도 마련 ▲신원확인 방법의 안정성과 신뢰성 제고 등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이기철 재외동포청장은 “비대면 신원확인 체계 분야에 전문역량을 가진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협업함으로써 기존의 불편하고 어려운 본인 확인으로 한국 내 각종 디지털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누리지 못한 재외동포들의 숙원을 해결해줌과 동시에 전 세계 재외동포 사회와 모국을 더 촘촘하게 연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미정 기자 mwoo@chosundaily.com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