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간전망] 올해 최악의 한 주 이후 반등 예상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뉴욕증시 주간전망] 올해 최악의 한 주 이후 반등 예상

웹마스터

소매기업 실적과 경제지표 주목

이번 주(2월 27일~3월 3일) 뉴욕증시는 소매기업 실적과 경제지표에 주목하며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올해 들어 최악의 한 주를 보냈다. 다우존스지수는 한 주간 2.99% 하락했다. 지난주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2.67%, 3.3% 밀렸다.

물가는 여전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선호하는 물가지표인 1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은 전월대비 0.6% 오르며 작년 여름 이후 가장 빠른 상승세를 나타냈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예상했던 것보다 높은 금리를 오랜 기간 동안 유지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연준 인사들의 발언도 금융시장의 이 같은 우려를 증폭했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5% 이상으로 인상해 이 수준에서 한동안 유지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한 포럼에서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너무 높다"라며 "추가 금리인상으로 (금리가) 충분히 제약적인 수준에 도달한 뒤 그 후에는 그곳에서 얼마동안, 아마도 더 긴(extended) 시간 동안 머물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말했다.

채권시장에서는 이번 긴축기에 최종 금리가 6%대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또, 연준이 오는 3월, 5월에 이어 여름까지 금리인상을 이어가거나, 25 베이시스포인트(1bp=0.01%포인트) 인상에서 다시 50bp 인상 '빅 스텝'으로 회귀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시됐다.

미국경제는 비교적 견조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4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 연율 2.7%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GDP는 지난해 1, 2분기에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며 경기침체 우려를 키웠지만, 3분기부터는 다시 플러스(+) 성장세로 돌아 선 모습이다. 

이번 주에는 다수의 소비 관련 기업들이 실적을 공개한다. 대형 백화점 메이시스, 소매판매점 타겟, 할인점 달러 트리 등의 실적 발표가 예정됐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경기를 보여주는 경제지표도 발표된다. 마킷(S&P 글로벌)과 공급관리협회(ISM)이 2월 제조업과 서비스업 경기 업황을 나타내는 구매관리자지수(PMI)를 공개한다. 아울러 시카고, 리치먼드, 댈러스 등 각 주의 연방준비은행(연은)이 제조업 지수 등을 발표한다.

김문호 기자 mkim@chosundaily.com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