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간전망(7~11일)] "트럼프 감세정책과 관세정책이 방향성 결정"
연준 FOMC 의사록에도 관심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이번 주(7~11일) 뉴욕증시의 방향성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나는 서한 몇 통에 서명했고, 그 서한은 월요일(7일)에 발송할 예정이다. 아마도 12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 발송 대상 국가와 관세율에 대해는 설명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이에 앞서 "아마도 60%나 70% 관세부터 10%나 20% 관세 범위일 것"이라고 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미국에 돈이 8월 1일에 들어오기 시작할 것"이라며 관세율은 최고 70%, 부과 시점이 8월 1일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시장에서는 이달 7일 서한과 상호관세 유예기한인 8일까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중요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증시 밸류에이션에 대한 논쟁은 가열되는 상황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와 이에 따른 파급 위험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최근 증시는 개인 투자자의 강력한 '매수'에 신고가를 새로 쓰고 있다. S&P와 나스닥지수는 지난 3일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반다리서치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는 올해 상반기 개별 주식과 상장지수펀드(ETF)를 1553억달러 순매수했다. 지난 2014년 이후 가장 많다. 팬데믹 시기인 지난 2021년 상반기에 찍은 최고치(1528억달러)도 상회했다.
이를 두고 모건스탠리 자산관리의 CIO인 리사 샬럿은 "지난주는 기관보다 개인이 더 많이 주도한 것 같다"면서 "기관의 포지셔닝은 평균 수준이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관들이 이 랠리를 믿을지 말지 어느 한쪽을 결정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4일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에 따른 감세정책으로 주요 기업의 실적 개선이 이뤄질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다. 투자자들은 9일 발표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도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김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