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MS, 시총 '4조 달러 시대' 누가 먼저 여나
엔비디아 3조8550억달러 1위
MS 3조7070억달러로 2위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와 세계 최대 소프트웨어업체 마이크로소프트(MS)가 시가총액 4조달러 시대에 바짝 다가서고 있다.
5일 뉴욕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엔비디아 주가는 159.34달러, 시총은 3조8850억달러로 시총 순위 1위에 올라 있다. MS 주가는 498.84달러, 시총은 3조7070억달러로 엔비디아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엔비디아 주가는 약 3%, MS 주가는 7.9%만 오르면 시총 4조달러에 다다르게 된다.
시총 3조달러에는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이 처음 올랐다. 장중기준으로는 2022년 1월, 종가기준으로는 2023년 6월이었다.
시총 4조달러는 현재 한국 시총 1위인 삼성전자를 13개 합쳐 놓은 가치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추정한 올해 각국 국내총생산(GDP) 순위에서 6위 영국(3조8391억 달러)을 넘어 5위 일본(4조1864억 달러)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6월 첫 3조달러 시대에 진입했고, MS는 2024년 1월 처음 3조달러에 올랐다.
그동안 시총 순위 1위를 수성했던 애플(3조1890억달러)은 올해 들어 주가가 주춤하면서 엔비디아와 MS에 시총 첫 4조달러 자리를 내줄 모양새다.
엔비디아와 MS 주가는 올해 들어 나란히 약 20% 올랐고 최근에는 장중 각각 160달러와 500달러를 처음 돌파하기도 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AI 훈련에 필요한 최신 AI 칩으로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고, MS 주가는 오픈AI와 파트너십을 통해 주도한 AI 기술을 생산성 도구에 장착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주요 대형 기술기업들이 AI에 대한 투자를 당분간 늘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엔비디아의 시총 4조달러 진입은 시간 문제라는 관측이 많다.
최근 투자기업 루프 캐피털은 엔비디아의 목표 주가를 기존 175달러에서 250달러로 대폭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 현재 주가보다 약 60% 오른 수준이다.
웨드부시증권은 MS에 대해 AI 모델 코파일럿 및 클라우드 사업의 강력한 성장세를 근거로 목표 주가를 현재보다 20% 상승한 600달러로 제시한 바 있다.
엔비디아가 4조달러 우선 진입에 유리할 고지를 밟고 있는 가운데 이달 말 발표 예정인 2분기(회계연도 4분기) 실적 결과에 따라 주가가 추가 상승할 수 있다. MS 주가는 견고한 클라우드 사업 성장세에 힘입어 지난 1분기 실적 발표 다음 날 주가가 7% 상승한 바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엔비디아는 AI를 하려면 반드시 사야 하는 칩을 만드는 반면, MS는 제공하는 AI 서비스를 기업과 소비자들이 '프리미엄 가격'을 주고 쓸 의지가 있느냐에 따라 성장 여부가 갈린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