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자 90% 이상 "달러 안전자산 지위 우려"
파이낸셜타임스 설문조사
"트럼프 재정정책·연준 공격 여파"
경제학자의 90% 이상이 달러의 안전자산 지위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이낸셜타임스(FT)가 시카고대 경영대학원 산하 켄트A클라크 글로벌마켓센터와 지난 6월에 경제학자 4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10년 안에 달러 표시 자산의 안전자산 역할 약화에 대해 '다소'(약 60%), 또는 '매우'(약 30%) 우려한다는 응답이 90%를 넘었다. '우려하지 않는다'는 견해는 10% 미만이었다.
감세안을 포함한 트럼프 행정부의 재정정책, 트럼프 대통령의 연방준비제도(연준) 독립성 훼손 우려 등이 영향을 끼쳤다는 게 FT 설명이다.
지난 4월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일방적 상호관세 발표 이후 주가와 국채가격, 달러가치가 '트리플 약세'를 보이기도 했다.
이 가운데 달러 약세는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유로화·엔화 등)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97.2로 3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존스홉킨스대 금융경제센터의 로버트 바베라 소장은 "숨 막히는 재정정책 남용이 거의 확실시된다"면서 이에 따라 달러 자산에 대한 인식이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해임하거나 후임자를 미리 지명하는 식으로 사실상 연준을 '접수'할 경우 "달러 자산에 대한 나의 우려는 '다소'에서 '매우'로 옮겨갈 것"이라고 했다.
아나 체스라크 듀크대 교수는 "재정적자, 달러가치 약화를 위한 정부의 의도적 조치, 후임 연준의장을 둘러싼 불확실성과 연준 독립성 문제 등이 모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