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칼럼] 유기농 농식품 수입인증제도 강화에 따른 유의사항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비즈니스
로컬뉴스

[무역 칼럼] 유기농 농식품 수입인증제도 강화에 따른 유의사항

웹마스터


앤드루 박 

Andrew J Park CHB 대표관세사 

한미관세무역연구포럼 회장


미국의 유기농 시장은 지난 10년 동안 눈에 띄는 성장을 이루었다. 미국 농업경제연구소(USDA Economic Research Service)에 따르면, 유기농 소매 매출은 연평균 8% 증가하여 2020년에는 인플레이션을 조정한 기준으로 530억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하여 2022년 유기농 식품 매출은 약 617억달러로, 12.8%의  더욱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유기농 식품 소비 증가 이유

미국에서 유기농 식품의 수요가  급속히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미국 식품시장이 건강과 환경에 뚜렷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제품의 속성과 관련된 소비자들의 키워드 상위 10개 중 7개는 건강에 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5년부터 코셔식품과 유기농이 꾸준히 상위권에 포함되고 있다. 특히, GMO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커지면서 유기농과 GMO Free를 표시한 제품 수가 2020년 기준  전년대비 각각 14.5%, 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건강에 관한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을  뒷받침하고 있다.

 

미국 내 유기농 부문의 성장은 유기농 제품의 마케팅을 촉진하기 위한 연방정부의 정책 활동과 유기농 농업 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교육 부문으로 확대되고 있다. 농업경제연구소에 따르면 미국 내 유기농 농장의 수와 유기농 생산에 할애된 면적도 지난 10년 동안 거의 두 배로 증가하였으며, 앞으로도 견고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농무부 유기농 수입식품 인증 규제 강화 

유기농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 증가에 따라 식품 안전성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농무부는 2023년 1월 19일 유기농 제품의 감시와 이력 추적을 개선하기 위한 유기농 제품 규제 강화 규정(The Strengthening Organic Enforcement, SOE)을 확정하고,  2024년 3월 19일부터 시행을 시작했다. 이 제도에 따라 유기농 식품을 수입하려는 수입자는 수출하려는 수출업자에게 SOE에서 규정하고 있는 유기농 제품의 강화된 인증요건과 증명절차를 준수를 요구해야 한다.    


유기농 식품 수입자의 주의사항

SOE에 따라 유기농 식품을 미국으로 수출하려는 수출자는 사전에 유기농 식품 증명서를 발급하여 수입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이를 국립유기농프로그램 수입증명서(National Organic Program Import Certificate) 또는 ‘NOP 수입인증’이라고 한다. NOP 수입인증서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유기농 제품의 수량 및  원산지 등에 관한  상세정보를 담고 있는 유기농 식품증명서라고 할 수 있다. 미국에서  수입통관 시NOP Import Certificate Number를 세관당국에 전송하지 않으면 수입통관이 거부될 수 있다. 

NOP 수입증명서는 수입되는 유기농 제품이 USDA의 SOE 규정을 준수하고 있으며,  USDA가 인증한 수출국의  공인된 유기농 인증기관에서 발급한 것이어야 한다.   

유기농 제품 수입자는 자체적으로 유기농 제품 수입자로서 인증을 받아야 함과 동시에 유기농 제품의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유기농 관리시스템이 요구된다. 모든 유기농 제품은 NOP 수입증명서를 통해 그 이력이 추적가능해야 하며, 미국 내에 수입되기 전에 해당 제품이 유기농으로 인증받은 사실이 명시되어야 한다. NOP 인증서와 유기농 제품은 데이터 시스템에서 상호 연계되어야 한다.  


결론

유기농 제품에 대한 높은 수요와 품질보증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강화된 규정을 숙지하고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 이를 통해 미국시장에서 유기농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고,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문의 (310) 567-1403, andrewpark@iFoodimports.com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