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60%가 'A'… 하버드대, 성적 인플레이션 제동

A 받는 학생이 너무 많은 것으로 드러난 하버드대가 성적 인플레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하버드대 캠퍼스. /AP
20년 전에는 25% 미만
대학 측 "면학 분위기 해쳐"
하버드대가 평균적으로 과도하게 후한 평점을 주는 '성적 인플레이션'이 면학 분위기를 해치고 있다고 경고하면서 이에 제동을 걸기 위한 방책을 내놨다. …
27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하버드대 학부교육 담당 학장 어맨더 클레이보는 보고서에서 최고 성적인 A를 과반수 학생들에게 주는 관행을 중단하라고 교수진에게 촉구했다. 보고서에는 교수들이 각 과목마다 평점 중앙값(median)을 발표하고, 시간에 따라 평점 분포를 검토하도록 권고하는 내용이 실렸다.
2016~2017 학년도(2016년 가을-2017년 여름) 이래 하버드생들의 성적 중앙값은 항상 A였다. 요즘 하버드대 학부 과정에서 A 평점이 부여되는 비율은 60% 수준이며, 이는 10년 전의 40%보다 훨씬 높다.
20년 전에는 A 비율이 25% 미만에 불과했다. 하버드대 학생신문 하버드 크림슨에 따르면 올해 졸업자 중 평균평점(GPA) A-인 GPA 3.7 이상인 졸업자의 비율이 82%였고, 심지어 GPA가 만점에 해당하는 4.0(반올림 포함)인 졸업자의 비율도 21%나 됐다.
이는 작년이나 재작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졸업생 GPA 중 가장 흔한 점수대는 3.9였으며, 3.9 이상을 받은 졸업생의 비율은 53%로 과반이었다. 클레이보 학장은 최근에 마무리된 학년도에는 전과목 A를 받은 1학년생의 수가 직전 학년도 대비 12% 감소했다며, 성적 인플레이션 관행에 약간의 개선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클레이보 학장은 "요즘의 관행은 평점 부여의 핵심적 기능을 불가능하게 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더 포괄적으로 대학의 면학 분위기도 해치고 있다"고 말했다. 하버드대 뿐만 아니라 다른 아이비리그 대학 등 명문대 상당수에서도 성적 인플레이션이 심각한 상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