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셧다운 여파… 캘프레시 11월 중단 위기
연방정부 재원에 의존해온 캘프레시 프로그램이 셧다운 여파로 내달부터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AP
한인 등 저소득층 '비상'
"국민 굶게 만드는 행위"
뉴섬 주지사, 즉각 대응 방침
연방정부 셧다운이 장기화되면서 캘리포니아주 식품 지원 프로그램 ‘캘프레시(CalFresh)’가 11월에 제공되지 않을 것으로 알려져 이 프로그램에 의존해온 한인 등 저소득층 주민들이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캘프레시는 연방 차원에서 ‘보충 영양 지원 프로그램(SNAP)’ 또는 ‘푸드스탬프’로 알려져 있으며, 저소득 가정에 매달 식료품을 지원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주정부가 운영하지만 재원은 연방 정부에서 나오며, 이번 정부 셧다운으로 큰 영향을 받고 있다.
안 트란 가주 사회복지국장은 “사회복지국은 매달 평균 6200만달러 상당의 캘프레시 혜택을 저소득 가정들에 제공한다”며 캘프레시 지연은 수혜 가정과 개인에게 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에도 타격을 준다. EBT 카드 사용 가능 소매점에서 1달러가 소비될 때 최대 1.50달러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비해 개빈 뉴섬 주지사는 가주 내 푸드뱅크 지원을 위해 주 방위군을 투입하고, 최대 8000만달러의 주정부 재원을 도움이 필요한 가정에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뉴섬 주지사는 이번 캘프레시 지연 사태를 두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사람들의 입에서 음식을 빼앗고 있다”고 비판하며 “사태는 심각하고 긴급하며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수백만명의 미국인이 가족의 식사를 위해 식품 지원 프로그램에 의존하고 있으며, 공화당이 발목을 잡는 동안 가주가 나서 공백을 메우고 있다. 주 재원을 푸드뱅크에 신속히 지원하고, 주 방위군과 봉사단을 투입해 가정에 식품을 배분하겠다. 추수감사절이 다가오는 가운데 식료품 가격이 상승하는 상황에서도 캘프레시 수혜자들이 굶주리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정부 셧다운은 민주당과 공화당이 2026년 정부 예산안에 합의하지 못하면서 지난 1일 시작됐다. 만약 연방의회가 다시 합의하지 못하면 캘프레시 혜택은 11월 1일부터 중단될 예정이다. 주정부는 혜택 지연 사태가 발생할 경우 캘프레시 프로그램에 의존하는 가정들은 지원 정보와 자원을 확인하기 위해 211전화로 문의할 것을 권고했다.
구성훈 기자 la@chosun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