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EOC 개인정보 요구에 CSU 교원노조 반발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EEOC 개인정보 요구에 CSU 교원노조 반발

웹마스터


CSULA에 소환장 발부

가주법원에 소송 제기

개인정보 보호가 목적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캘스테이트 LA(CSULA) 직원 전원의 개인정보 제출을 요구하는 소환장을 발부하면서 22개 캠퍼스에 걸쳐 2만5000 명의 교수 및 직원들을 대표하는 교원노조와 CSU 리더십 간 새로운 법적 분쟁이 불거졌다.

CSULA는 지난 9월 말 연방평등고용기회위원회(EEOC)로부터 소환장을 받았다고 교직원들에게 알렸다. 

그러나 교원노조인 캘리포니아 교수협회는 지난 10일 가주 법원에 제기한 소송에  CSU가 노조에 소환장 사본을 전달한 10월 1일 이전에 이미 직원 개인정보가 연방 당국에 제공됐다고 주장했다.

교수들은 다른 캠퍼스들에도 유사한 소환장이 발부될 가능성이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EEOC는 또한 CSU를 상대로 체계적인 반유대주의 혐의를 제기한 상태다. 이번 소송은 앞으로 이와 같은 개인정보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노조의 권한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소송은 주 헌법과 정보관행법에 따른 직원들의 개인정보 보호 권리를 이유로, CSU가 연방 당국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사전 통지하도록 법원의 명령을 요청하고 있다.

교수협회는 EEOC의 이번 조치가 “학문, 교육, 표현, 정치적 활동의 내용에 근거해 고등교육 기관과 그 학생 및 교직원을 표적으로 삼는 연방정부의 전략의 일환”이라고 주장하며, 특히 가자 지구 분쟁과 관련해 트럼프 정부와 의견이 다른 사람들을 겨냥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환장에는 직원들의 이름, 인종, 성별 뿐만 아니라 휴대폰 번호와 마지막으로 확인된 주소 등 개인 연락처 정보가 포함됐다. 소송에 따르면 CSU는 노조에 모든 요구 정보를 제공했으나 집 주소는 제외했다고 통보했다.

CSULA 관계자는 소환장에 응답한 사실을 확인했지만 소송과 관련해서는 추가 언급을 하지 않았다. 한편, CSU의 밀드레드 가르시아 총괄총장은 이전에 대학이 연방 당국의 조치에 협조할 것임을 밝힌 바 있다.

구성훈 기자 la@chosundaily.com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