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9월 30일] 셧다운발 금리인하 기대에 동반 상승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뉴욕증시 9월 30일] 셧다운발 금리인하 기대에 동반 상승

웹마스터

다우지수 81p 오르며 사상 최고치 

엔비디아 시총 첫 4조5천억불 돌파


9월의 마지막 날(30일) 뉴욕증시는 3대 지수 모두 강세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연방정부의 일시업무정지(셧다운)에 따른 경기 우려를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정책금리 인하 가능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받아들여 투자를 확대했다. 


이날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81.82포인트(0.18%) 오른 4만6397.89에 거래를 마감했다. 사상 최고 종가를 갈아치웠다. S&P500지수는 27.25포인트(0.41%) 상승한 6688.46, 나스닥지수는 68.86포인트(0.31%) 오른 2만2660.01에 장을 마쳤다.


증시는 셧다운 가능성에 대한 경계감으로 장중 대체로 약세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화이자 발표 관련 행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의 예산안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며 "우리는 아마 셧다운을 겪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지시간 자정까지 의회의 합의가 없다면 정부는 셧다운에 돌입하게 된다. 셧다운 시 미국 경제지표는 나오지 않고, 연방 인력은 무급 휴직으로 전환하게 된다.


소비자심리가 후퇴한 것도 증시에 약세 압력을 넣었다. 경제분석 기관 콘퍼런스보드(CB)에 따르면 9월 소비자신뢰지수는 94.2로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시장 전망치(96)도 하회했다.


그러나 그간 셧다운이 오래가지 않았다는 점이 부각되며 증시는 장 후반 회복에 나섰다. 오히려 셧다운을 연준의 금리인하의 재료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브라운브라더스해리먼(BBH)의 수석 시장 전략가인 엘리아스 하다드는 "장기간의 셧다운은 성장에 대한 하방 위험을 키우고, 연준이 더 완화적인 기조를 취할 가능성을 키운다"고 분석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까지 기준금리가 50bp 인하될 확률을 75.8%로 반영했다. 직전 거래일 마감 무렵엔 66.8%였다.


코어위브는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플랫폼과 최대 142억달러 규모의 컴퓨팅 파워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히면서 11.70% 급등했다. 그래픽 칩(GPU) 공급업체인 엔비디아의 주가도 덩달아 2.60% 오르며 주단 186.58달러를 기록했다. 이로써 엔비디아 시총은 4조5420억달러를 마크, 처음으로 4조5000억달러를 넘어섰다. 


화이자 주가는 6.83% 상승했다. 화이자가 미국에서 70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는 조건으로 연방정부로부터 3년간 관세 부과를 유예받는다는 소식 때문이다.


셧다운에 따른 항공 관제사 부재 가능성에 사우스웨스트 항공(-2.59%), 유나이티드 항공(-2.17%), 델타항공(-1.58%) 등 항공주는 하락했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