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14일] 저가매수세에 힘입어 강세 마감
다우존스지수 0.20% 상승
14일 뉴욕증시는 저가매수세에 힘입어 강세로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주말 유럽연합(EU)과 멕시코에 3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음에도 투자자들은 이를 불확실성 해소로 삼았다.
이날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88.14포인트(0.20%) 오른 4만4459.65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는 8.81포인트(0.14%) 상승한 6268.56, 나스닥지수는 54.80포인트(0.27%) 뛴 2만640.33에 장을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8월 1일부터 EU와 멕시코에 3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지난 12일 발표했다. 이는 철강과 구리 등 부문별 관세와 별도로 부과되는 것이다.
이 같은 소식에도 뉴욕증시는 크게 개의치 않았다. 이날 주가지수 선물은 아시아 시장에서 0.5% 넘게 떨어지며 장을 열었으나 뉴욕장이 열릴 때쯤에는 보합권까지 낙폭을 좁혔다.
증시는 오히려 국가별 관세율에 대한 불확실성은 해소됐다고 보는 분위기다. 차라리 시장은 기업실적과 경제 회복력에 더 집중하는 모습이다.
이번 주 JP모건체이스와 모건스탠리 등의 실적이 발표되면서 기업들의 2분기 실적 발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투자자들은 2분기 실적 자체보다는 올해 하반기 실적 전망에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업종별로는 에너지가 1% 이상 떨어졌다. 의료건강과 소재, 기술도 하락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최근 가파르게 상승한 데 따른 피로감에 0.87% 하락했다. 30개 구성 종목 중 4개를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 중에선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이 하락했다. 애플은 1.2% 하락하며 시총 3조달러 레벨도 위태로워졌다.
인공지능(AI) 방산업체 팔란티어는 4.96% 뛰며 시총이 3375억달러에 이르게 됐다. 나스닥에서 11번째로 시총이 큰 기업이 됐다.
비트코인은 사상 첫 12만달러를 돌파했고, 관련주들은 강세를 보였다. 비트코인 투자기업 스트래티지는 3.78% 뛰었다.
김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