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저렴하지만 큰 결함 숨겨져 있을 수도"
'As-is ' 주택 사야 하나, 말아야 하나
많은 홈오너들은 집을 ‘있는 그대로(As-is)’ 상태로 팔고 싶어한다. 이럴 경우 필요한 수리나 업그레이드를 하는데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바이어 입장에서 as-is 집을 사는게 좋은 선택일까? 플리핑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자이거나, 최대한 저렴한 가격에 홈오너가 되고 싶은 사람에게는 as-is가 현명한 선택일 수 있다.
◇As-is의 의미는
부동산 업계에서 as-is 는 현재의 컨디션을 그대로 유지하며 판매하려고 하는 주택을 말한다. 집안 곳곳에 문제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홈오너가 수리비를 조달할 여력이 되지 않거나, 차압절차가 완료돼 금융기관이 집을 소유하고 있을 경우 as-is 매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유가 무엇이든 as-is 매물은 현재 상태 대로 집을 판매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다소 낮은 가격에 판매될 때가 많다.
◇장점은
가장 큰 장점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이다. As-is 집은 셀러와 협상을 하기 편하다. 셀러는 어떻게든 집을 빨리 팔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런 매물은 특히 집을 싸게 사서 고친 후 비싸게 파는 ‘플리퍼(flipper)’들에게 인기가 많다. As-is 집은 바이어가 금융기관으로부터 모기지론을 받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올 캐시 바이어의 관심을 끌 가능성이 높다.
◇단점은
바이어 입장에선 아주 꼼꼼한 인스펙션을 해야 한다. 결정적인 결함이 어딘가에 숨겨져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클로징을 한 후 수리비에 대해 셀러는 협상을 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집을 싸게 산 것 같아도 무브인을 하고 나서 이런 저런 문제가 발생하면 ‘돈 먹는 하마’가 될 수도 있다.
◇사야 하나 말아야 하나
바이어는 인스펙션을 일종의 보호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가능하면 매매계약서에 인스펙션 컨틴전시를 집어넣어 만에 하나 큰 결함이 드러나면 계약을 취소할 수 있는 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구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