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알루미늄·반도체…3대 악재 덮친 미국 차 업계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희토류·알루미늄·반도체…3대 악재 덮친 미국 차 업계

웹마스터

텍사스주에 있는 GM 생산공장. AP

뉴욕 알루미늄 공장 화재 여파

지프와 포드 공장도 가동 중단


전국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부품 공급난으로 일부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희토류, 알루미늄, 반도체 공급망 혼란이 자동차 업체들을 동시에 강타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9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스텔란티스의 지프 SUV를 생산하는 미시간주 공장의 조립라인이 지난주 멈춰 섰다. 다음 달 초까지 생산이 재개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스텔란티스 대변인은 미시간주 공장 가동 중단이 부품 부족 때문이라고 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전미자동차노조(UAW) 관계자에 따르면 알루미늄 부족이 공장 가동을 멈춰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같은 이유로 포드의 공장 3곳에서도 생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알루미늄 공급난은 지난달 뉴욕주 오스위고의 알루미늄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의 여파다. 화재로 오스위고 공장 가동이 내년 초까지 중단되면서 일부 포드 모델과 지프 SUV의 생산 일정이 차질을 빚게 됐다고 WSJ은 전했다.


앞서 WSJ은 업계 분석가들을 인용해 오스위고 공장을 운영하는 알루미늄 업체 노벨리스가 미국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되는 알루미늄 시트의 약 40%를 공급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WSJ이 입수한 메모에 따르면 포드는 켄터키주 트럭 공장에서 SUV 익스페디션과 링컨 네비게이터 조립 중단을 오는 26일까지 연장할 예정이다. 포드의 일부 F 시리즈 슈퍼듀티 트럭 생산도 줄이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희토류 통제 강화 등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과 반도체 패권 경쟁도 자동차 업계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부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미국에서 만든 모터를 중국으로 보내 희토류 자석을 장착한 뒤 다시 들여오는 방안까지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네덜란드 정부가 최근 중국 기업의 자회사인 자국 반도체 업체 넥스페리아의 경영권을 장악하는 비상조치를 한 것도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네덜란드 정부는 모회사인 중국 윙테크로 넥스페리아의 핵심 기술이 이전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이 같은 조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자동차 제조업체들과 공급업체들은 넥스페리아로부터 칩 공급을 더는 보장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넥스페리아가 만드는 반도체는 특히 미국 부품 및 차량 생산에 필수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미국의 주요 자동차 제조사를 대변하는 자동차혁신연합(AAI)의 존 보젤라 회장은 "자동차용 반도체 출하가 빠르게 재개되지 않으면 미국과 다른 많은 나라의 자동차 생산이 차질을 빚고 다른 산업에도 파급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사태의 심각성을 경고했다.


이 같은 공급망 혼란은 이미 '트럼프 관세'와 전기차(EV) 전환 비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동차 업계에 타격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