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부메랑에 美식품업계 울상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트럼프 관세 부메랑에 美식품업계 울상

웹마스터

한 여성이 마트에서 식료품 쇼핑을 하는 모습. /AP


품목별로 감면 로비 중

원칙적으로 어렵지만

미 비생산 식품은 예외 가능성


미국 식품업계가 수산물과 채소와 과일 등 주요 품목에 대한 관세 예외를 추진하고 있다. 

24일 파이낸셜 타임스(FT)에 따르면 미국 식품업계는 식품이 관세에 특히 취약하며, 상당수 품목이 미국 내에서는 적정 가격에 생산될 수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 높은 상호관세 영향을 받는 국가 중에는 미국이 대량 생산하지 않는 품목을 생산하는 나라들이 있어 가격 인상 폭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다만, 로비단체들은 관세 전체를 공격하기보다는 제각기 관세 면제를 요청하는 단편적인 접근법을 택하고 있다.

수산물 무역 조합인 미국수산협회(NFI)의 개빈 기븐스 최고전략책임자는 "수산물은 다른 식품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며 "우리는 (수산물) 전체에 대해 면제를 원한다"고 말했다.

협회는 미국에서 소비되는 식품 대부분은 자국 내에서 주로 생산되고 5분의 1 정도만 수입하는 데 반해 수산물의 경우는 미국 소비량의 85%를 해외에서 들여오고 있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예컨대 미국은 전체 새우 소비량의 90%를 수입하고 그중 3분의 1은 인도에서 들여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산 원유를 사들였다는 이유로 인도에 관세 50%를 물리면 새우 가격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진다는 것이다.

미국 내 어획량은 이미 지속 가능한 최대 생산량에 도달해 더는 늘릴 수 없고, 규제 때문에 양식업의 확장도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로 상무부에 따르면 미국의 수산물 무역 적자는 2022년 기준 240억 달러(약 33조원)를 기록했다.

농산물 무역단체인 국제신선농산물협회(IFPA)의 레베카 애드콕 대관 담당 부회장은 "우리는 관세 논의에서 과일과 채소를 제외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