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 안하지만 뽑지도 않는다…노동시장, 미국 경제뇌관 되나
웹마스터
경제
10시간전
연준도 노동시장 취약성 주시
6월 신규채용률 3.3% 그쳐
많이 해고하지 않지만 많이 채용하지도 않는 최근의 미국 노동시장이 미국 경제에 잠재적 위험 요소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도 이런 노동시장의 취약성을 주목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고용주들이 근로자를 잘 해고하지 않지만, 새 직원 채용에도 별 관심을 갖지 않으면서 노동시장의 취약성이 부각되고 있다고 지난 23일 보도했다.
연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미국의 신규 채용률(전체 고용에서 신규 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3.3%에 그쳤다. 코로나19 팬데믹 직전인 2020년 2월의 3.9%보다 낮은 수치다. 고용 시장이 급속히 회복세를 보이던 2021년 11월의 4.6%보다는 훨씬 낮다. 신규 채용 부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한 임원은 7월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은)의 월간 제조업 분야 설문조사에서 "관세 정책 변화는 기업들이 상황을 지켜보도록 하고 있다. 앞날을 예측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직원 해고도 많지 않다. 6월 전체 고용에서 해고 비율은 1%로, 2021년 고용 시장이 호황이었을 때 기록했던 사상 최저치 0.9%에 근접하고 있다.
직원 해고의 또 다른 지표인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지난 1년간 증가하긴 했지만 여전히 매우 낮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