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20일] AI 거품 논란 속 낙폭 축소, 혼조 마감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뉴욕증시 20일] AI 거품 논란 속 낙폭 축소, 혼조 마감

웹마스터

나스닥지수 0.67% 하락


20일 뉴욕증시는 혼조로 마감했다. 인공지능(AI) 산업을 둘러싼 밸류에이션 논란 속에 이날도 기술주 투매가 이어졌다. 다만 단기간에 낙폭이 과했다고 판단한 듯 일부 투자자는 저가 매수에 나서기도 했다.


이날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16.04포인트(0.04%) 오른 4만4938.31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는 15.59포인트(0.24%) 밀린 6395.78, 나스닥종합지수는 142.10포인트(0.67%) 떨어진 2만1172.86에 장을 마쳤다.


개장 직후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에 하방 압력이 강하게 가해지면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장 중 1.92%까지 낙폭을 확대했다. 올해 시장을 이끌었던 AI 및 반도체 관련주를 둘러싸고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지는 데다 상승 동력도 약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주가를 계속 짓누르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틀 사이 최대 낙폭 기준으로 나스닥이 3% 이상 하락하면서 저가 매수세도 유입됐다. 이에 주요 기술주는 일부 낙폭을 회복하며 장을 마쳤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은 모두 1% 안팎으로 하락했다. 엔비디아는 장 중 3.89%까지 내려갔으나 약보합으로 선방했다. 소매체인 타겟은 2분기 순이익이 급감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6% 넘게 떨어졌다. 인텔 주가는 7% 하락했다. 


이날 공개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의 매파적 의사록이 시장에 일순 충격을 주기도 했다. 의사록에 따르면 7월 회의에선 금리인하를 주장하는 소수의견은 2명에 그쳤고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전반적으로 우세했다. 고용보다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위원이 여전히 다수였다.


이는 매파적 분위기로, 금리인하를 지지하는 위원이 더 많았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꺾었고 주가지수를 다시 아래로 밀어냈다. 다만 낙폭 과대라는 인식이 시장 전반에 확산한 듯 저가 매수세가 다시 유입되며 나스닥의 하락세는 완만하게 마무리됐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