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소비자물가 2.7%, 전월 수준 유지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7월 소비자물가 2.7%, 전월 수준 유지

웹마스터


관세 우려에도 대체로 예상치 부합

연준, 9월에 금리인하 기대치 상승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릴 것이란 우려 속에서도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월 수준에 머문 것을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연준)가 9월 중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기대도 상승했다.


노동부는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 6월(2.7%)과 동일한 수준이다. 한 달 전과 비교해선 0.2% 상승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1%, 전월 대비 0.3% 각각 상승했다. 근원지수의 전년 대비 상승률은 6월(2.9%) 대비 올라 지난 2월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날 발표된 수치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에 대체로 부합했다. 대표지수의 전년 대비 상승률이 전망치를 0.1%포인트 밑돌았고, 그 외 수치는 전망에 부합했다.


c4facf9543fcb569f4b269d2ae1d2b2b_1755106272_8174.jpg
경제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이라고 그동안 우려해왔다. 
관세 영향에 따른 가격상승 압력으로 7월 들어서도 근원지수를 중심으로 인플레이션 반등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모습이다.


앞선 6월 소비자물가 지표에서는 장난감, 의류 등 수입 비중이 높은 일부 품목의 가격이 상승한 바 있다. 7월 들어서도 햄(3.7%), 토마토(3.3%), 유아·아동 의류(3.3%), 커피(2.2%) 등 일부 세부 품목의 전월 대비 가격 상승률이 높았다. 휴가철을 맞아 항공료는 전월 대비 4.0% 올랐다.


그러나 식품 전체로는 가격이 전월 대비 보합에 머물렀고, 에너지 가격이 전월 대비 1.1% 내리면서 전체 대표지수 물가 상승률을 제약했다.






0 Comments